무속 이야기
우리 민족에게 콩의 의미
愚悟
2023. 12. 24. 16:58
우리 민족에게 콩의 의미
우리 민족에겐 콩과 관련된 음식이 무척 많다. 콩은 뿌리혹박테리아 덕분에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랄 뿐만 아니라 척박했던 땅을 옥토로 만들어 주기도 한다. 그러한 이유로 그 당시 농사라는 개념이 없을 당시 콩은 가꾸지 않더라도 잘 자라서 인간에게 단백질을 제공한 유익한 식물이 콩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이유로 콩은 인간이 최초로 재배한 작물이라 생각되며 콩은 인간이 최초로 하늘에 제사를 드릴 때 천신薦神한 음식이었다고 생각한다.
그 예로 콩 ‘두豆’의 모양이 제사 지낼 때 사용하는 제기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것을 뒷받침해 주는 기록이 <산해경/해외동경> 제〔9〕편에 있다.
이 기록에서 한인천제 시절 제사를 지내는 일을 주관하던 신하의 이름이 바로 수해豎亥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수豎를 파자해 보면 바로 콩‘두豆’자가 나온다. 수해가 가장 먼저 콩을 하늘에 바친 사람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백태白太, 청태靑太, 서모태鼠眸太, 유월태六月太 등 콩을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면서 ‘태’자를 붙이고 있다.
본디 ‘태’자는 ‘크다’는 뜻 이전에 태시太始, 태초太初, 태고太古 등에서 처음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인간이 가장 먼저 농사를 지은 곡물이 콩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최초로 바친 음식이 콩이라는 뜻이 있다.
우리 민족에겐 콩을 이용한 음식이 많이 있다. 된장이나 간장을 만들어 먹기도 하고 콩나물을 재배하여 먹기도 한다. 또한 콩을 갈아서 두부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러한 콩은 태초에, 하늘에 제사를 드릴 때 사용한 곡물이었기에, 인간에게 유익한 단백질을 제공하는 곡식이었기에 콩을 신성한 곡물로 여겼으며, 이 신성성은 부정한 기운을 물리치는 힘을 가졌다고 우리 민족은 믿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교도소에서 나오는 사람에게 제일 먼저 두부를 먹이는 풍습이 있다. 이런 행위는 두부의 원료가 바로 콩이기 때문이다. 두부 자르듯 여기서 모든 나쁜 기운은 끝이 나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이런 행위는 두부가 신성시하는 콩으로 만들어졌기에 콩으로 부정한 기운을 내쫓는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무교에서는 금기사항을 어기면 부정이 든다고 한다. 인간들의 생로병사에 따라오는 부정이 있으며 흙을 다루어도, 돌을 다루어도, 나무를 다루어도 부정을 탈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부정을 동티라 한다. 이런 동티를 탈 때 무당들은 부정을 쳐낸다. 부정은 그냥 나가는 것이 아니고 쫓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굿을 하거나 부정을 쳐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콩과 두부, 팥 그리고 미나리와 북어, 황토, 소금이 있다.
팥을 이용하는 것은, 팥의 붉은 색은 양陽을 상징하는 것으로 양의 밝은 기운으로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는 벽사의 힘을 가졌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미나리를 사용하는 것은, 미나리 뿌리는 물을 정화하는 힘이 강하다. 그래서 미나리꽝을 통과하는 그 어떤 물도 깨끗하게 정화되어 흘러나온다. 미나리의 이러한 정화작용은 부정한 것을 깨끗이 소멸시킨다는 의미로 뿌리 있는 미나리를 사용하였다.
북어는 곤鯀이라는 이름에서 나오는 북극의 가장 큰 물고기라는 의미와 곤이 제사를 주관하는 최초의 제관으로 부정을 쳐내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며, 실제로 북어는 화기를 쫓아내는 등 정화하는 작용을 한다.
황토 역시 정화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굿을 하기 전에 주변에 황토를 뿌려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침범하지 못하도록 한다. 바다에 적조가 발생하면 황토를 뿌리는 것은 황토가 가지고 있는 정화와 해독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소금도 부정을 쳐낼 때 사용하고 있다. 소금에 절인 음식은 변하지 않으며, 소금이 배추의 숨을 죽이는 역할 등이 바로 부정을 죽이는 것으로 믿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가게들은 문을 열기 전에 반드시 조그마한 용기에 소금을 담아서 가게 문 양옆에 놓아두는데 이것은 바로 소금이 부정한 기운을 쳐내어 장사가 잘되기를 기원하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