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할미 이야기

부처님 오신 날

愚悟 2005. 5. 19. 23:02

부처님 오신 날


길거리를 지나다 보면 거리에 매달린 연등들이 부처님오신 날 즉 사월 초파일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연등에 관한 기록을 보면 통일신라시대부터 연등행사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당시는 석가탄신일이 아닌 정월 대보름인 상원(上元)날에 개최되었다. 이는 중국 상원 날의 연등회 풍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석가탄신일 보다 더 성행하였다.

그러다 고려 태조 왕건이 상원 연등회를 법으로 정착시켜 온 국민에 참여하는 국가적인 축제인 연례불교행사로 만들었다. 즉 온 국민이 참여하는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인 정월 대보름인 상원의 풍속과 불교의 의식을 가미한 왕실이 주최하는 행사였다. 그리고 사월 초파일에는 사찰별로 소규모 연등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그러나 사월 초파일 연등행사가 왕실 행사인 상원의 연등행사보다 능가하는 사찰의 연등행사로 발전하게 된 이유는 바로 무신집권 시대부터이다. 무신정권 즉 최우(崔祐)가 권력을 잡았을 때부터 최우는 왕실이 주체가 되는  상원의 연등행사보다 더 화려하고 웅장하게 사월 초파일일 연등행사를 개최하였다. 또한 그 시기에 몽고의 간섭으로 왕실의 번영과 발전을 기원하는 상원 연등행사는 자주 중단되자 점점 더 사월 초파일 연등회가 발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조선이 건국되자 상원의 연등회는 당연히 고려 왕실과 관련이 있으므로 구습이라 하여 즉시 폐쇄되어 버리고 사월초파일 연등회만 존속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조선 <왕조실록>을 보면 연등의 모양도 용과 봉, 호랑이와 표범, 새, 짐승, 물고기 등의 모양과 마늘, 박, 학, 잉어, 자라, 병, 항아리, 북 모양의 등을 비롯하여 수많은 등이 있었다. 는 기록을 볼 수가 있다. 하지만 지금의 연등은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만을 들어 하나같이 똑같은 모양으로 부처님 오신 날을 축복하는 의미보다는 사찰의 수입에 더 큰 의미를 두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사월 초파일은 불교의 교조(敎祖) 석가모니께서 중인도 히말라야 남쪽 기슭 가비라성에서 성주 정반왕과 왕비 마야 사이에서 B.C 623년 룸비니 동산 무우수(無憂樹)아래에서 태어난 날이다.

세상에 태어나자마자 사방으로 일곱 발자국을 걸으면서 “천성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고 외쳤다 한다.

석가모니의 처음 이름은 싯달다, 생후 7일째 어머니와 사별하고 이모 손에서 자랐으며, 장성하여 선각왕의 딸 야수다라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그 후 인간의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고통을 보고 29세 때 출가하여 선지식(善知識)을 만나 배움을 얻고 35세에 정각하여 부처(佛陀, Buddha, 깨달은 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녹야원에서 사성제(四聖)를 비롯한 삼법인설, 팔정도, 십이인연 등의 설법을 설한 뒤 45년간 인도 각지를 다니며 많은 사람들을 불교에 귀의하게 하였다.

그 후 석가모니는 B.C 544년 2월 15일 80세의 나이로 구시나라의 바라쌍수 아래에서 입적하였다.

불교는 석가모니가 입적한 후 916년이 지난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년)에 중국의 전진(前秦)으로부터 순도가 불상과 경전을 가져오면서 우리에게 전해졌다. 특히 삼국 중 신라는 불교를 배척하는 세력들이 강하여 이차돈이라는 순교자를 내기도 하였다.

그 후 불교는 국교가 되어 우리 민족 종교인 무교를 대신하며 그 위치를 더욱 확고히 하면서 많은 발전을 하여왔다.

사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이 되면 많은 사찰을 비롯한 무교인 집에도 등불을 밝힌다. 불교에서는 등불을 밝히는 이유를 <설일체 유부경전>의 기록에 보면 「아사세왕이 기원정사에서 부처님께 법문을 청해 들을 때 동참한 모든 불제자들이 기름등을 켜서 법회자리를 밝힌대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이 자리에 난타라는 한 가난한 여인이 많은 사람들이 기름등으로 불 공양을 올려 공덕 쌓는 것을 보고, 자신도 공덕을 쌓고 싶어서나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음을 안타깝게 생각하다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팔아서 기름 한 되를 구하여 불을 밝혔다.

다음 날 아침이 되어 모든 불을 꺼졌으나 이 난타의 불만은 꺼지지 않고 밝게 타고 있었다. 아난과 목견련 존자가 이 불을 발견하고는 부처님께 여쭈니 부처님께서 “이 등불은 지극한 성심과 큰 원력을 가진 사람이 밝힌 등불이기 때문에 꺼지지 않는다.” 라고 말씀 하셨다. 이때 난타 여인이 부처님 전에 예불을 올리자 부처님께서는 네가 오는 세상에 이 아승지겁을 지나 부처가 되리니 이름을 동광여래라 할 것이다. 라고 수기를 내리셨다. 이어 난타는 부처님께 출가하기를 기원하여 비구니가 되었다.」고 한다.

이때부터 큰 원력을 세운 사람은, 부처님 전에 등불을 밝혀 부처님 은혜에 보답하고 자신의 지혜를 밝히는 등불을 켜게 되었으며 이를 계승하고자 부처님 오신 날에 각 사찰마다 등불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각 사찰마다 등불을 밝히는 뜻은 화엄경을 보면 “믿음을 심지 삼고, 자비를 기름으로 삼아 생각을 그릇으로 하고 공독의 빛으로 하여 삼독(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음)을 없앤다.” 라고 하였다.

또 대열반경에는 “중생은 번뇌의 어두움 때문에 지혜를 잃는데 비해, 여래는 방편으로 지혜의 등을 켜니 모든 중생을 열반에 들게 한다.” 라고 하였다.

이것은 모든 중생의 번뇌와 삼독으로 인해 불성보배를 보지 못하고 있음을 표명한 것이며 부처님께서는 곧 법신, 보신, 화신의 삼신 모습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시어 중생들이 지혜로서 평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인도하여 주신 것이라 한다.

불교는 특히 한국의 다도의 맥을 이어주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지금 많은 다인들이 하고 있는 행다례는 사찰에서 선승들이 행하던 다법이 전례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예로 우리는 근대 다도의 거목으로 초의선사를 꼽고 있으며, 많은 다인들이 자기가 초의선사의 정통 다법을 전수 받았다고 내세우고 있지 않은가?

이렇게 불교는 많은 사상과 문화를 우리에게 남겨 주었으며 지금도 이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부처님 오신 날이라는 4월 8일에 대하여, 또 연등에 대하여 우리 무교와 우리 민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한번 살펴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왜 우리나라는 불교를 국교로 하고 있는 태국(음4월 15일) 등 다른 나라들과 다르게 부처님 오신 날을 음력 4월 8일로 정했을까? 어떤 날을 정하여 부처님 탄신을 축복하던 상관없는 일이지만 4월 8일은 우리 민족에게 뜻 깊은 날이기에 하는 말이다.

<고구려국 본기 제 6편>을 보면 고구려 선조는 해모수로부터 나온다고 하였으며 <조대기>에선「해모수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웅심산에 일찍이 살다가 부여의 옛 서울에서 군대를 일으켜 무리에게 추대되어 나라를 세우고 왕이 되니 이를 부여 시조라 한다. 까마귀 깃털로 만든 관을 쓰고 용광의 검을 차고 오룡의 수레를 탔다. 아침엔 정사를 듣고 저녁엔 하늘로 오르니 호령하지 않아도 절로 관경(管境)이 교화 되었다. 단군 해모수가 처음 하늘에서 내려  오심은 임술년(B.C 239년) 4월 초 여드레다.」라고 되어있다.

이렇게 보면 4월 초 여드레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가 하늘에서 내려온 날로써 불교가 고구려에 들어오면서 고구려 왕족의 선조가 하늘에서 내려온 날을 부처님 탄신 날로 잡은 것이 아닌가 한다.

또한 부처님 탄신일에 밝히는 연등 역시 우리 무교의 인등(因燈)에서 비롯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그 이유로 우리 무교의 조왕신을 들 수가 있는데 조왕신은 한인천제의 대리자로써 조왕신에게 제사할 때는 당반(鐺飯:속칭 노구메)을 사용하였으며 장등(長燈)으로 불을 밝혔다. 이것을 인등(因燈)이라고도 하였으며 이 인등(因燈)은 신등을 말하는데 즉 한인천제(桓因天帝)의 등이라는 뜻이다.

우리가 지금도 인등(因燈)이라 하여 사찰이나 무당 집에서 많이 밝히고 있다. 또 4월 초 파일에는 특별히 연등이라 하여 사찰이나 무당 집에서 밝히고 있다.

불교에서 연등을 밝히는 이유를 앞에서 설명을 하였지만 우리 무교에서 연등 혹은 인등 불을 밝히는 진정한 뜻은 한인천제를 기리기 위한 것으로 한인천제에게 바치는 불인 것이다. 등불을 밝힘으로써 한인천제의 높은 덕과 사상을 널리 기린다는 뜻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여 본다.

불교는 민중들에게 불교를 포교하기 위하여 민족종교인 무교의 많은 부분들을 인용하였고 무교와 더불어 흥망을 같이 하며 오랜 세월 지내왔다.

그러다 보니 무교는 생생지생(生生之生)의 큰 뜻으로 불교를 받아들여 무교의 일부분으로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비롯한 관세음보살 등 여러 불상들을 다른 신명들과 같이 모시게 되었다.

그러나 신당에 부처님을 모셨으니 4월 초파일 행사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만 신당에서 목탁을 치며 불경을 외는 것을 보면 어딘가 어색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나만의 느낌일까 하는 생각을 하여 본다.      

'삼신할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와 동짓날  (0) 2006.11.30
무교를 바라보는 원로사학자의 잘못된 편견  (0) 2006.09.22
십자가는 여자의 십구멍이다.  (0) 2006.05.02
부처님 오신날  (0) 2006.04.26
솟대와 오리  (0) 200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