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81

조왕신竈王神

조왕신竈王神 조왕은 축융인 한인천제의 대리자조왕신은 부녀자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신 조왕신은 부엌을 지키는 신으로 그 기원은 불을 다루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불을 다루다 보면 항상 화재의 위험이 따르기에 항상 조심스럽게, 신중하게 불을 다루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신으로 승격하여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이다.그러면 언제부터 조왕신을 모시게 되었는지 그 유래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지만, 아마 고시가 불을 발견하고 난 뒤부터가 아닌가 추측할 수 있다. 중국의 서한시대 회남만필술淮南萬畢術>에 의하면 조왕신은 사람들의 죄를 사하고 매월 그믐에 하늘로 올라간다고 「구신회귀천, 백인죄(口神晦歸天, 白人罪)」라고 하였다. 그리고 후한에 이르러서는 부뚜막에는 작은 신이 거하면서 인간의 허물을 살피고 꾸짖기도 ..

홍수막이를 전수해 준 부루태자

홍수막이를 전수해 준 부루태자 - 창수사자부루(蒼水使者扶婁)에서 비롯된 창부거리- 부루태자는 용왕 무교인은 정월달이 가장 바쁜 달이다. 그 이유는 새해를 맞이하면서 일 년 동안 단골들이 나쁜 액에서 벗어나 편안하기를 기원하는 ‘홍수막이’ 의식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 홍수막이는 어떻게 비롯되었으며 누구에게서 시작되었을까? 『태백일사/삼환관경본기』에 순임금 때 황하의 9년 홍수로 피폐해진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치수를 담당한 우사공이 조선의 부루태자에게 홍수를 다스리는 비법을 배우고자 왔다. 이때, 「부루태자가 우사공(虞司空/禹임금)에 이르기를, 나는 북극 수정(水精)의 아들이다. 그대의 왕(舜임금)이 나에게 청하기를 물과 땅을 다스려 백성들을 도와 이를 구하려 한다고 했는데 삼신상제는 내가 ..

무속 이야기 2025.04.15

업왕 신이 된 부루단군

업왕 신이 된 부루단군 최초의 무당을 탄생케 한 부루(扶婁) 단군무조신(巫祖神)으로 추앙받는 부루 단군  부루 단군이 살아생전 태자 시절부터 왕검 시절까지 뛰어난 능력과 위엄을 널리 떨치면서 백성들을 위하는 선정(善政)을 베풀어 모든 백성이 추앙하였다. 「BC 2183년 부루 단군께서 붕어하시니 이날 일식이 있었다. 산짐승도 무리를 지어 미친 듯 소리를 지르고 백성들은 심하게 통곡했다. 그 후 백성들은 집안에 땅을 골라 단을 설치하고 흙 그릇에 쌀과 곡식을 가득 담아 단 위에 올려놓았다. 이를 ‘부루단지’라 부르고 업신으로 삼았다. 또 완전한 사람이 받는 계명이라고 전계佺戒라고도 불렀다.」라는 구절이 단군세기>에 나온다. 여기서 전계란 인간이 조심하고 경계해서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한 계율이다. 또 7일..

무속 이야기 2025.04.09

칠성신(七星神)-3

칠성신(七星神)-3  조상들은 북두칠성은 하늘의 물을 만드는 곳이라 생각했다. 봄이 되면 북두칠성의 자루가 북동쪽 하늘로 올라가면서 국자 모양은 땅을 향하게 되는데 그때 국자에 들어있던 천수가 땅으로 흘러 농사에 유익한 봄비가 된다고 생각했다. 북두칠성은 동북 간방(艮方)에서 떠서 서남 곤방(坤方)으로 진다. 이 방위를 귀방(鬼方), 즉 귀신의 방위라고 한다. 북두칠성이 지나가는 귀신의 길은 신이 활동하는 길이다. 간방은 신이 드러내놓고 활동을 하므로 표귀방(表鬼方)이라고 하고 곤방은 신이 숨어서 활동하므로 이귀방(裏鬼方)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간방에 속해 있으므로 표귀방에 있다. 북두칠성이 표귀방에서 떠서 이귀방으로 지므로 子時에 귀신이 나타났다가도 닭이 울면 사라진다는 설화가 생겨났다.   칠성신에..

무속 이야기 2025.03.11

칠성신-2

칠성신-2 우리 민족은 북두칠성과 오랜 세월 인연을 맺어 왔다 고조선 때에는 무덤인 고인돌 뚜껑 위에 북두칠성을 그려 넣었고 고구려 역시 무덤 속에 북두칠성을 크게 그려 넣었다. 이어서 고려도 그러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북두칠성을 새겨 넣은 칠성판이 등장하게 되었다.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는 칠성판 위에 누워야 좋은 곳이라는 칠성의 품으로 돌아갈 수가 있다고 믿었다. 북두칠성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고 복을 주기도 하지만 목숨을 앗아가는 일도 관장하고 있다.  단군 이후 우리 역사상 북두칠성을 가장 숭상했던 나라는 고구려였다. 고구려는 북두칠성을 나라의 징표로 삼았다. 임금 스스로 자신을 북두칠성의 화신으로 생각하여 국강(國罡)이라고 하였다. 광개토대왕 시절 토기에 우물 정(井)자의 표시가 있었다. 그것은 사정..

칠성신(七星神)-1

칠성신(七星神)-1- 칠성은 하늘의 우물  칠성신은 우리 민족이 존재하면서부터 삼신신앙과 더불어 믿어온 신이다. 칠성신이라고 하면 할머니들이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다 놓고 자손들의 무병장수와 복을 비는 모습을 제일 먼저 연상하게 된다.칠성이라고 하면 북두칠성을 떠 올리게 된다. 북두칠성은 우리 민족이 유별나게 사랑해 온 별자리다. 삶의 길흉화복을 모두 북두칠성에서 비롯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무가(巫歌)에는 동두칠성·남두칠성·서두칠성·북두칠성이라 하여 있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이것을 28수(28宿)라 말한다. 그러나 칠성님이라 하면 북두칠성을 말한다.   칠성의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별을 괴(魁)라 하고, 괴는 선기(璇璣)가 된다. 다섯 번째부터 일곱 번째 별을 표(杓·柄)라고 하여, 표는 옥..

무속 이야기 2025.02.28

삼신(三神) -3

삼신(三神) -3우리가 삼신을 섬기듯 세계 신화에도 삼신이 등장한다. 게르만 신화에도 최초의 신들은 오딘, 빌리, 베 등 삼 형제다. 성서에서는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를 말한다. 동방박사도 셋이고, 그들이 가져온 선물도 황금, 몰약, 유황 등 세 개이다. 노아의 아들도 셈, 야벳, 함 등 삼형제다.아담과 이브의 아들도 카인, 아벨, 셋 삼 형제다. 예수도 세 가지의 유혹을 받았다. 사탄은 예수에게 돌을 빵으로 만들고, 성전 위에서 아래로 뛰어내리고, 자신에게 절을 해서 천하를 얻으라고 유혹한다. 힌두 신화에는 브라마, 비슈누, 시바 등 3대 주신이 있다. 특히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가 신들의 제왕이 되고 나서 자신은 하늘을, 하데스에게 지하 세계를, 포세이돈에게 바다를 다스리게 하여 천하를 삼등분한..

무속 이야기 2025.02.21

삼신(三神) -2

삼신(三神) -2 민족 경전에 일신(一神)은 하나님으로 한 분이시지만 그 위대함은 셋으로 나누어 존재하시니 바로 삼신(三神)이다. 삼신하나님은 큰 덕과 큰 지혜와 큰 힘을 사용하신다. 우주 삼라만상에 삼신의 작용을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을 삼진이라 하고, 삼진은 선(善)하고, 깨끗(淸)하고, 후(厚)한 세 가지로 나타난다.  인간의 본성은 선청후(善淸厚)로 선하고 깨끗하고 후덕해야 한다. 이를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라 하여 삼진(三眞)이라 한다. 반대로 이 삼진을 파괴하려는 모든 것은 악탁박(惡濁薄)으로 삼망(三妄)이라 했다. 이 삼망에 물들지 않기 위한 가르침이 삼신사상이다.   삼진인 선청후를 지키는 세 개의 문을 성명정(性命精) 삼관(三關)이라 했고, 삼진인 선청후가 머무는 집..

무속 이야기 2025.02.13

삼신(三神) - 1

삼신(三神) - 1 삼신할머니는 우리 민족의 지킴이  3월 3일을 삼짇날(三眞)이라 한다. 삼진이란 사람이 태어나면서 삼신으로부터 받은 세 가지, 성(性) ․ 명(命) ․ 정(精)을 말한다. 삼신이 생명을 점지해 주어야 창조의 힘을 가진 여성이 임신하게 된다는 우리 민족의 믿음은 곧 인간의 탄생은 반드시 삼신이 주관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우리말에 아기의 ‘태(胎)’를 삼이라고도 하고 탯줄을 삼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은 바로 삼신으로부터 새 생명이 태어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삼신은 곧 우주를 창조하고 만물을 만드신 하나님이기 때문이다. 이 말은 삼신할머니가 최초로 인간을 창조하신 분이라는 말과 통한다.   삼신을 모시는 방법으로 삼신의 신체(神體)는 대체로 삼신바가지, 삼신단지, 삼신주머니, 제석항아..

무속 이야기 2025.02.06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생교육원 무교종교학 과정 2025년 학생 모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생교육원 무교종교학 과정 2025년 학생 모집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교육원은 무교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해소하고 무교인들의 자질 향상을 위한 무교종교학 과정 1기 학생을 모집합니다. 1. 교육기간 1년 (매주 목요일 13:30-18:00) - 전반기 16주 3월 6일-6월 19일 - 후반기 16주 9월 4일-12월 11일 2. 교과과목 무속이론Ⅰ·Ⅱ, 새신의례, 상담심리  3. 모집 정원 : 20명 4. 수강료 : 1학기 100만원 하나은행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148-910012-35904 (1학기 100만원) 5. 등록기간 : 2월 1일-3월 6일 미래교육원 행정실 6. 특전 수료증(총장) 새신의례 1급 자격증서 및 자격증 카드 수여 7. 문의 : 평생교육원 행정실 02-..

무천 리포트 2025.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