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창 칼럼 184

무당의 입 방아질

무당의 입 방아질   12.3 비상계엄 후 대한민국의 모든 것은 곤두박질쳤다. 계엄 관련자들은 대부분 구속되고 수많은 별들이 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 와중에 별이 되고 싶어 날개 짓하는 무당이 있어 안타깝다. 유튜브에 윤석열 사주를 풀이하여 계엄사태를 미리 예견했다는 것은 애교로 봐줄 수 있다. 그러나 어느 무당은 전 정보사령관 노상원이 자주 찾아와 나눈 대화를 모 방송국과 자세히 인터뷰하였다. 지난 대선 때 인천의 어느 무당이 김건희 여사와 전화상담한 내용을 녹음하여 김의겸 의원의 유튜브 및 시사보도 방송에 등장한 적도 있었다.   대한민국 모든 분야에서 계엄의 그림자를 지우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는 암울한 시기에 이런 행태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대선 때와 같이 이 무당 역시 노상원과의 ..

삼지창 칼럼 2024.12.26

오컬트 소재의 원천 샤머니즘

오컬트 소재의 원천 샤머니즘  예전 ‘月下의 공동묘지’ 등 한국 오컬트 영화를 보고 가슴 졸이던 시대가 있었다. 그 당시 한국 귀신 가운데 가장 무서운 귀신이 처녀귀신이었다. 처녀귀신이 대중들에게 가장 무서운 귀신이라 인식된 이유는 순수함이 변질되면 가장 공포스러운 힘을 발휘한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처녀귀신의 위력은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고, 2010년경 모 포털사이트에서 네티즌을 상대로 조사한 가장 무서운 귀신 Best Five에서 부동의 1위는 역시 처녀귀신이었다. 2위는 구미호九尾狐, 이어서 저승사자, 삼신할머니, 서낭당귀신 순이었다. 지금은 한국 귀신은 사라지고 수입 귀신이 득세한 세상이다. 즉 ‘드라큐라’ ‘뱀파이어’ ‘좀비’ 등이 귀신을 대변한다. 그리고 퇴마사 엑소시스트가 방송의 영향으..

삼지창 칼럼 2024.11.26

공수貢壽와 공수空授

공수貢壽와 공수空授 굿을 할 때는 반드시 공수를 준다. 언제부터 공수를 주게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굿을 하는 목적이 바로 신의 말씀이라는 공수를 받기 위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굿을 직접 의뢰하였거나 혹은 굿판에 참여한 사람들이 무당들이 내뱉는 말 한마디, 즉 공수에 일희일비하면서 좋은 공수가 내리는 마음에서 긴장한다. 또 굿을 의뢰한 제가집에 전달하는 공수와 더불어 굿을 참관한 사람에게도 공수를 준다. 이때는 가급적 좋은 공수를 주려고 하고, 이런 공수를 덕담 공수라고 한다. , 등 옛 문헌에 기록된 것을 보면 옛날에는 공창(空昌)이라고 하였다. “공창은 사람의 소리가 아닌 신령의 소리로서 이 소리에 의하여 길흉화복을 판단하고 점을 치며 죽은 사람의 소식이나 음성을 듣는다.”라고 하..

삼지창 칼럼 2024.03.23

무당의 비밀보호 의무

무당의 비밀보호 의무 필자는 정치적인 편향성을 가지고 이 글을 쓴 것이 아니라는 것을 먼저 밝힌다. 금일 어느 무속인이 김건희의 상담(점) 내용을 특정 정당에 밝혀 파문이 일고 있다. 예전 대선 때 캠프 시민봉사단 사무실 개소식 고사를 봉사차원에서 지내준 무속인이 있었다. 이 무속인은 대선 기간 동안 특정대선 후보를 위한 굿판을 벌렸다고 연일 TV 등 방송에 등장하여 많이 힘들어하였으며, 순수한 마음으로 캠프에 소개해 준 필자의 마음도 심히 불편하였다. 이번 대선은 무속프레임 대선이라고 할 만큼 무속을 폄하하고 왜곡하고 있는 와중에 생각 없는 한 무속인이 자랑스럽게 김건희의 상담내용을 공개하여 김의겸 의원의 유튜브 및 시사보도 방송에 등장하였다. 방송과 유튜브로 제법 알려진 이 무속인은 이번 발언으로 더..

삼지창 칼럼 2022.02.08

너희들이 샤머니즘을 알아?

너희들이 샤머니즘을 알아? 최악의 후보들이 경쟁하는 20대 대선에서 유난히 무속, 법사, 미신 등이 많이 나타난다. 법사가 선대본부 고문이라니, 샤머니즘 정치를 한다니, 위성이 발사되는 시대에 국정을 미신이 좌우한다느니, 대한민국에서 나름 똑똑하다는 인간들이 모여 있는 여의도에서 이런 소리로 대선 판을 어지럽히고 있다. 우리 사회는 무속에 대한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을 가지고 있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런 경향은 왜곡된 시각과 교육에 의하여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가치관의 스펙트럼을 한쪽으로 편향된 가치관을 심어 주었기 때문이다. 역사를 살펴볼 때 무속이 배척당하기 시작한 때는 우리 스스로 思惟하고 관망보고 설계하지 못하는 자주성과 정체성을 상실한 시기부터다. 그러나 헌법에 ..

삼지창 칼럼 2022.01.18

무속칼럼니스트 조성제의 발자취

1988년 처음 무속을 접하고 반평생을 무속을 공부하고 무속의 발전과 무속인들의 인성교육을 위해 노력한 세월이 어느듯 33년이 흘렀다. 1997년부터 대한민국 최초의 무속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숱한 사연과 아픔을 안겨준 무속, 명예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았지만 늘 오해와 비난으로 얼룩진 나의 행적은 누굴 탓하기 보다 나의 잘못된 행보가 남겨준 상처라고 생각한다. 무속인들에게는 신을 받지 않은 무지랭이로, 학계에서 학위가 없는 재야라 는 한계로 어느쪽에서도 환영 받지 못한 무속의 삶이지만, 무속을 사랑하고 굿판에서 즐길 수 있었기에 나는 행복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 무속판에서는 난 늘 최초였다. 지금은 흔한 무속인공연을 1993년 처음으로 야외에서 무대를 세우고 굿을 공연화 한 일, 무속전문교양대..

삼지창 칼럼 202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