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의 풍속
<설>이란 말은 낯설다, 새롭다 는 뜻으로 새로 시작한 한 해의 첫날을 의미한다.
<설>을 다른 말로 원단元旦, 세수歲首 라고도 한다. 또 <설>을 신일愼日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라는 말이다.
예전에는 섣달 그믐날이면 골목 여기저기서 복조리를 한 짐 메고 복조리 사라는 외침이 밤새 울려 퍼졌다. 그러면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소요되는 복조리를 사게 된다. 밤에 미처 사지 못한 가정은 설날 아침 일찍 사거나 미리 부탁을 하여 가져오게 한다.
이렇게 복조리를 사는 이유는 1년 동안 복을 많이 받고자 하는데서 비롯되었는데, 바로 칠성의 2번 째 별인 천선성의 조응을 받고자 한다.
천선성은 하늘의 보물창고 인간의 식록을 주관하므로 이 별의 조응을 받으면 부자가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런 믿음은 복조리뿐만 아니라 복주머니를 달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설날에는 설빔을 곱게 차려입고 차례茶禮를 지내고, 어른들에게 세배를 한다. 그리고 덕담을 서로 나누며 준비한 맛있는 음식과 술을 먹게 된다.
옛날에는 설날에 도소주屠蘇酒를 마셨다. 이 도소주를 마시면 일 년 동안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이 도소주를 마실 때는 나이 적은 사람부터 마셨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부녀자들은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못하였으므로 계집종에게 음식을 차려 일가친척에게 문안을 드리게 했는데 이것을 문안비問安婢라고 하였다.
설날 새벽에 거리에 나가 새 소리를 듣고 일 년의 운세를 점치기도 하였는데 까치 울음소리를 들으면 풍년이 들고 다른 새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흉년이 들고 불행이 올 징조로 여겼는데 이것을 청참聽讖이라고 하였다.
또한 나라에서는 장수하는 부인들에게 포상을 하여 경노심을 키우기도 하였다.
설날 저녁에는 원단소발元旦燒髮이라고 하여 일 년 동안 머리를 빗을 때 빠진 머리털을 버리지 않고 보관하여 두었다가 설날 저녁에 불에 태웠다. 설날 저녁에 문 밖에서 머리털을 태우면 염병을 피할 수 있다고 믿었다.
정초에 하는 제액으론 삼재면법三災免法이라 하여 9년마다 드는 삼재를 피하기 위하여 응삼우鷹三羽을 그려서 문 위에 붙이면 재앙을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이 삼재면법은 지금도 널리 통용되고 있다.
또 이날은 대문에 악귀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 이기 위하여 문배를 많이 붙였다.
궁중에서는 한 길이 넘는 강포 오모상絳袍 烏帽象을 그려 중합문에 붙이고 종규鍾馗가 귀신을 잡는 화상이나 귀두상을 그려 문에 붙였으며, 일반 어염집에서는 벽에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였다.
대문에는 용과 호랑이를 붙이고 닭은 칙간에 붙였는데 닭이 울면 귀신이 달아나기 때문에 귀신이 가장 많이 있다고 믿는 칙간, 즉 화장실에 붙인 것이다. 이런 문배를 붙이는 것은 질병을 물리치고 역신을 몰아내는 벽사辟邪의 의미가 있다.
설날 밤에는 하늘에 있는 <야광귀>란 귀신이 내려와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사람들의 신을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고 한다. 이 때 신발을 도적맞은 사람은 그해 일 년 동안 액운에 시달리고 재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설날 밤에는 모두 신발을 방에 들여다 놓고 잤다. 이 야광귀를 막기 위하여 대문에 금줄을 치고 화약을 터뜨려 쫓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야광귀 퇴치법으론 기둥이나 마당에 높은 장간長竿을 세워 채를 걸어두면 야광귀가 하늘에서 내려와 채를 발견하곤 채의 눈이 많으므로 몇 개나 되나 헤아리다 자꾸 헷갈려서 밤새 채만 헤아리다 닭이 울면 미처 신발을 훔쳐가지 못하고 돌아간다고 한다.
또 정월의 첫 원숭이날을 상신일上辛日이라 하여 왕은 친히 사직단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올렸다.
그리고 첫 쥐날인 상자일上子日은 농부들이 쥐를 없애기 이하여 논두렁 밭두렁을 태우는데 이를 쥐불놀이라고 한다. 또 쥐날 밤 자시에 방아를 찧으면 쥐가 없어진다고 해서 부녀자들이 밤중에 방아를 찧었다. 이 날 곡식을 볶아서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 재수가 좋다고 전한다.
정월의 첫 토끼날은 상묘일上卯日이라 한다. 이 날은 남자가 먼저 일어나 대문을 열어야 한다. 남자가 특히 가장이 대문을 열어야 일 년 동안 대문으로 융성한 기운이 많이 들어와 집안이 번성한다고 믿었다. 이날은 남자가 대문을 열고 난 뒤 여자들이 방문을 열고 나와 일을 하였다.
토끼날은 장수를 비는 날이기도 하였다. 이 날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명사命絲라고 해서 명주실을 청색으로 물들여 팔에 감거나 옷고름에 매달고 다녔는데 이렇게 하면 명이 길어진다고 믿었다. 또 이날 실을 짜거나 옷을 지어면 장수한다고 믿어 반드시 베틀에 올라 한 올의 실이라도 짜본다.
정월의 첫째 돼지날은 上亥日이라고 하여 얼굴이나 피부색이 검은 사람은 왕겨나 콩깍지로 문지르면 살결이 희고 고와진다고 믿었다. 이 날은 바느질도 하지 않고 머리도 빗지 않는다. 바느질하면 손가락이 아리고 빗질을 하면 풍병이 생긴다고 믿었다.
궁중에서는 햇불을 들고 「돼지 주둥이 지진다.」하며 돌아다녔으며 곡식을 태워 주머니에 넣어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것은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이 곡식을 담은 주머니를 해낭亥囊, 자낭子囊이라고 부르는데 모두 비단으로 만들며 해낭은 둥글게 자낭은 길게 만들었다 한다.
마지막으로 설날에서부터 열이튿날까지 12알 동안 일진에 의해서 유모일有毛日(털 있는 날)과 無毛日(털 없는 날)로 나뉜다. 즉 12동물 중 털 있는 동물인 쥐, 소, 호랑이, 토끼,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날은 털 있는 날 그리고 용, 뱀날은 털 없는 날이 된다.
유모일은 길일 이고 무모일은 불길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설날이 유모일에 해당하면 그해 풍년이 들고 무모일에 해당하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 연휴를 끝내고 상점의 개점이나 새로 개업할 때도 유모일을 택하는데 특히 호랑이날이 좋다고 한다.
정초에는 남의 집에 가서 유숙하지 않는다.
특히 7일은 인일人日이라 하여 이날은 더욱 금기시 하였는데 이날 객이 집에 와서 자고 가면 그해 한해는 불운하다고 믿어 손님 재우기를 굉장히 꺼렸다. 하지만 피치 못하게 자고 가야할 사정이 생기면 주인과 객이 머리를 반대에 두고 거꾸로 자야만 그 액운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풍속은 정월달은 경거망동을 삼가고 은연자중하면서 일 년 계획을 잘 세우라는 그런 뜻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매달 초삼일까지 절이나 무당집에 들러 불공을 드리거나 기원을 한다. 이렇게 초삼일까지로 묵시적으로 정해진 것은 바로 달과 관련된 풍속으로 초삼일까지는 달이 모습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음기의 상징인 달이 자취를 감추고 있는 기간은 여자도 달과 같이 그 기간만큼은 바깥출입을 중지하고 몸을 단정히 하여 천신께 기원하라는 뜻일 것이다.
'삼신할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갑신(六甲神)과 육갑신을 부르는 법 (0) | 2012.03.13 |
---|---|
정월 대보름의 풍속 (0) | 2012.02.06 |
壬辰年 흑룡 이야기 (0) | 2012.01.01 |
해맞이와 해돋이 (0) | 2011.12.29 |
동짓날과 팥죽 (0) | 201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