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집 깃발의 유래와 의미
무당이 되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신당을 꾸미고 집 앞에 긴 대나무에다 붉은 천과 흰 천을 매달아 세운다. 이 깃발은 한웅천왕시절에 하늘에 제사 지내는 장소인 소도 가운데 모旄라는 깃발을 세운 데서 유래되었다.
<한단고기/단군세기>에 「11세 도해단군 경인원년(BC1891년)에, 오가에 명을 내려 열두 명산의 가장 뛰어난 곳을 골라 국선國仙의 소도蘇塗를 설치케 하셨다. 많은 박달나무를 둘러심은 후 가장 큰 나무를 골라 한웅의 상(象)으로 모시고 여기에 제시 지내며 웅상雄常이라 이름 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웅상의 그림은 집안에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 장전 1호에 나타나 있다.
또 기록하기를 「무리를 지어 노래하며 춤추며 술 마시기를 밤낮 쉴 사이 없이 한다. 그 춤은 수십 인이 함께 일어나 서로 따르며 땅을 구르며 몸을 낮췄다 높였다 하며 손발이 서로 장단에 맞춘다. 귀신을 믿으며 국읍으로 각각 한 사람씩을 세워 천신을 제사 지내는 것을 주관케 한다. 이를 이름 지어 천군이라 한다. 또 여러 나라엔 각각 특별한 마을이 있는데 이를 소도라 이름한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 북을 매어 달고 귀신을 섬긴다.」라는 기록 외 여러 곳에서 웅상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그렇다면 무당집에 세우는 깃발은 바로 웅상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웅천왕시절 소도에서 제사를 지내고, 백성에게 천부경과 삼일신고를 가르치며 천제를 올린다. 또한 소도에 서면 언제나 참전계경이란 계戒가 있어 충 ․ 효 ․ 신 ․ 용 ․ 인 오상의 도를 닦았다.
또한 하늘에 제를 올리는 언덕을 구丘라고 하였다. 구丘는 앞을 높이고 뒤를 낮게 하여 모를 꽂는다고 하였다. 구는 나라의 중심이 되는 땅을 말하는데 14대 한웅천왕인 치우천왕이 세운 나라가 청구이다. 청구의 중심에 세웠던 깃발이 모旄인 것이다.
모를 불교에서는 당幢이라고 부른다. 오래된 고찰을 가보면 반드시 절 마당에 높은 철 기둥을 세워진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당간지주로 당간지주가 높을수록 그 절의 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당간지주는 불교와 상관이 없는 한웅천왕시절 하늘을 숭상하는 성역에 세운 소도가 변형된 것이다.
「강희자전」에 土地高者曰丘 因高以事天 高於地上이란 기록이 있다.
「땅이 높은 것을 구丘라고 한다. 높으므로 하늘을 섬기는 일을 한다. 고로 땅 위에 세운다.」라고 하였다.
이 말은 청구의 높은 언덕에서 하늘에 제를 지냈다는 뜻이다.
또 因下以事地 故於澤中 기록도 있다.
「언덕을 낮게 하므로 땅을 섬기는 일을 한다. 고로 못의 한가운데서 하는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언덕이 높은 곳에서는 하늘에 제를 지내고, 못 가운데 언덕이 낮은 곳에서는 땅에 제를 지낸다는 말이다.
또 굿을 할 때 반드시 모旄를 꽂고 춤을 추었다는 기록이 있다.
丘非人爲之曰丘 丘前高後下旄 <강희자전>
구는 사람을 위한 언덕이 아닌 것을 구라고 한다. 언덕은 앞이 높고 뒤가 낮은데 모를 꽂는다.
그 당시 제사를 지낼 때는 반드시 모旄를 혈구에 꽂았다는 것을 기록한 것이다.
이때 꽂은 모, 즉 깃발이 변형되어 지금 무당집 앞에 꽂혀있다. 그러면 무당집은 하늘과 땅에 제사 지내는, 즉 굿을 하는 신성한 장소라는 뜻이다. 한웅천왕 시절 때부터 천제를 지내는 신성한 곳인 소도라는 표시이다.
이렇듯 소도에 세운 모가 오랜 세월이 지나 지금 무당집 앞에 대나무에 걸린 천 조각으로 변형이 되었지만, 그 숭고한 뜻은 알고 세워야 한다. 이 깃발을 다는 순간 무당집은 일반 사람으로서의 집이 아니라 하늘에 제사를 올리고 백성들을 교화하고 오상의 계를 닦도록 하는 아주 중요하고도 신성한 소도의 성격을 가지는 중요한 곳이 된다.
무당들이 모旄기에서 시작된 깃발의 유래와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아 스스로 반성하여 오계의 도를 닦고 언행에서 모범을 보이면 무당집도 성당이나 사찰과 같이 성역화 된 장소로, 민족종교의 사제로서 나라의 중심이 되는 날이 올 거라고 굳게 믿는다. 거부감을 줄 수 있는 깃발을 세우지 말고 솟대를 세우는 것이, 삼신신앙을 이어가는 무당에게 더욱 성스러운 일이며 무교의 정체성을 알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삼신할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솟대에 앉은 오리 세 마리 (2) | 2024.01.26 |
---|---|
해맞이가 가지는 의미 (6) | 2023.12.30 |
풍류도와 무교 그리고 바람 (0) | 2023.12.13 |
구미호의 진실 (2) | 2023.11.28 |
십자(十)는 창조와 신장의 의미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