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우 5

무교에서 뱀을 금기시하는 이유

무교에서 뱀을 금기시하는 이유 무교에서 금기시하는 동물이 개와 뱀이다. 개고기나 뱀을 먹었으면 칠성굿을 할 때 반드시 먹었다고 혼이 난다. 그러면 왜 이들을 금기시할까? 『한단고기』에 우리 민족 최고의 조상은 한인천제라고 하였다. 한인천제는 약 9900년 전 풍주 배곡에서 한국桓國이라는 나라를 세우고 뱀을 인종 아이콘으로 사용하는 풍이족시대를 열었다. 『설문해자』에 虫(충)은 巳(뱀)이라고 했다. 즉 풍이족의 풍風자는 안석 궤几자 안에 벌래 충虫자가 있는 문자이다. 안석案席은 벽에 몸을 기댈 수 있도록 세워놓은 방석이지만, 글자 모양이 동굴 같다. 충은 뱀이라 했으니, ‘풍風’자는 동굴 안에 웅크리고 있는 뱀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렇게 뱀은 우리 최고의 조상 중 한 분인 한인천제가 개국할 때 최초의 우..

무당 방울이 가지는 의미

무당 방울이 가지는 의미 무교에 사용되는 신기물 가운데 무당들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방울이다. 방울은 곧 무당들의 대명사로 무당의 상징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방울을 사용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 있으나 방울의 기본적인 목적은 소리를 내는 데 있다. 보통 방울이라고 하면 조그마한 쇠가 방울 안에 달려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무당들이 사용하는 방울은 놋쇠가 서로 부딪치면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일반 방울과 다르다. 방울을 한자로 표기할 때는 금황자金晃子, 영금당鈴金當, 탁령鐸鈴, 영鈴이라 부르며 이 말들은 소리 나는 물체를 의미한다. 무당들이 사용하는 기물 중에 소리 나는 것이 하나 더 있는데 그것은 종이라고 할 수 있다. 방울과 종의 공통점은 맑은 금속음으로 신령을 불러들이고, 신령과..

무속 이야기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