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13

삼신(三神) -2

삼신(三神) -2 민족 경전에 일신(一神)은 하나님으로 한 분이시지만 그 위대함은 셋으로 나누어 존재하시니 바로 삼신(三神)이다. 삼신하나님은 큰 덕과 큰 지혜와 큰 힘을 사용하신다. 우주 삼라만상에 삼신의 작용을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이것을 삼진이라 하고, 삼진은 선(善)하고, 깨끗(淸)하고, 후(厚)한 세 가지로 나타난다.  인간의 본성은 선청후(善淸厚)로 선하고 깨끗하고 후덕해야 한다. 이를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라 하여 삼진(三眞)이라 한다. 반대로 이 삼진을 파괴하려는 모든 것은 악탁박(惡濁薄)으로 삼망(三妄)이라 했다. 이 삼망에 물들지 않기 위한 가르침이 삼신사상이다.   삼진인 선청후를 지키는 세 개의 문을 성명정(性命精) 삼관(三關)이라 했고, 삼진인 선청후가 머무는 집..

무속 이야기 2025.02.13

풍물(風物)과 매구(昧扣)

풍물(風物)과 매구(昧扣) 현재 농악이라 하면 꽹과리 치고 장구 치며 노는 것을 말하는데, 예전에는 풍물 · 풍장 · 四物 · 매구 · 두레 · 걸궁 · 걸립 등으로 불렀다. 이 명칭 가운데 생경한 것이 ‘매구’다. 이 매구의 어원은 어디서 비롯되었는가 정리해 본다.   한자에서 “매(昧)”란 새벽, 또는 동틀 무렵을 나타내는 뜻이지만, 북두칠성의 꼬리별 뒤쪽에 자리 잡은 별 이름이 “매(昧)”다. “매”에 대한 기록이 예명당위禮明堂位>에서 인용하여 강희자전>에 나오는데 “매(昧)는 동이의 음악이다.” 하였다.   북두칠성의 끝별인 꼬리 부분을 두표(斗杓)라 한다. 두표는 북두칠성의 손잡이 끝부분으로 꼬리 별이다. 두표의 뒤쪽에 ‘매(昧)라 부르는 별이 있다. 매(昧)는 동틀 무렵을 뜻하는 것으로 해가 ..

무교의 뿌리 삼신사상

무교의 뿌리 삼신사상 삼신사상(三神思想)의 三은 천지인을 기본으로 음양의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진 길수(吉數) 또는 신성수(神聖數)라 하여 우리 민족의 생활과 철학에 깊숙이 배어 있다. 삼신사상에서 인간은 태양의 빛과 같이 선하고 깨끗하고 후덕해야 한다는 뜻으로 선청후(善淸厚)라 했다. 이를 인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라 하여 삼진(三眞)이라 했다. 반대로 이 삼진을 파괴하려는 모든 것은 악탁박(惡濁薄)으로 삼망(三妄)이라 했다. 이 삼망에 물들지 않기 위한 가르침이 삼신사상이다. 삼진인 선청후를 지키는 세 개의 관문을 성명정(性命精) 삼관(三關)이라 했고, 삼진인 선청후가 머무는 집을 심기신(心氣身) 삼가(三家)라 했다. 삼망인 악박탁이 들어오는 통로를 식감촉(息感觸) 삼도(三途)라 했는데, 바로 느낌..

카테고리 없음 2024.10.24

동이(東夷)의 음악

동이(東夷)의 음악   우리 국민들이 좋아하는 역사극을 보면 죄인을 문초할 때 “매우 쳐라”고 말한다. 이렇게 매질하면 거짓이든 진실이든 토설하게 하게 되어 그 사건의 전말이 분명하게 밝혀지는 것이다. 그러면 죄인을 때리는 행위를 왜 “매질”이라고 하였을까? 한자에서 “매昧”란 새벽, 또는 동틀 무렵을 나타내는 뜻이지만, 북두칠성의 꼬리별 뒤쪽에 자리 잡은 별 이름도 “매昧”다. 이 “매昧”에 대한 기록이 예명당위禮明堂位>에서 인용하여 강희자전>에 나오는데 “매昧는 동이의 음악이다.”라고 하였다.  우리가 잘 아는 북두칠성은 국자 모양으로 생겼다. 북두칠성의 머리 부분인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별을 선기(璇璣)라 하고, 다섯째별부터 옥형(玉衡)이라 한다. 이 옥형의 끝별인 꼬리 부분을 두표斗杓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