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 이론서 발간 이 책을 내면서 필자가 무속을 처음 접한 지 벌써 강산이 두 번 변하고 남을 세월들이다. 2005년 <무속에 살아있는 우리 상고사>란 책을 쓴 후 많은 사람들로부터 격려와 호응을 받았다. 최초로 무속의 근원을 우리 상고사에서 찾으려고 시도를 했기 때문이다. 우리 상고사 속에는 우리.. 무천 리포트 2014.07.02
굿힐링페스티벌 두번째 -서울새남굿 산 자도 죽은 자도 살리는 굿, Good이다!"일지아트홀, '굿 힐링페스티벌-서울새남굿' 28일 개최 이효선 기자 | sunlee@ikoreanspirit.com ▲ '굿 힐링 페스티벌'이 28일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일지아트홀에서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말로만 듣던 굿을 직접 보니까 재밌네요. 미신이라는 부.. 무천 리포트 2012.10.30
"무교를 바로 세워 꺼져가는 민족정기를 불같이 일으켜!" - 한정연무교총연합회 사단법인 현판식 "무교를 바로 세워 꺼져가는 민족정기를 불같이 일으켜!" 한정연 창립 1주년 기념모임 겸 무교총연합회 사단법인 현판식 거행 김선적 의장, 장영주 원장 등 민족지도자 '뜨거운 박수'로 공명 김인배 < 이 시대 최고의 무당으로 선정된 '강고은' 부회장에게 선정패를 전달하는 환타임스 김인배 대표>.. 무천 리포트 2011.07.15
서자한웅이 가지는 의미 우리는 한단고기 등에 기록된 서자 한웅이란 단어에 의구심을 가진다. 서자庶子의 사전적 의미는. 본부인이 아닌 딴 여자가 낳은 아들로 다른 말로 별자別子ㆍ얼자孼子ㆍ외자外子ㆍ첩자妾子라고 되어있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유별난 서얼차별에 대한 부정적인 관념이 팽배해 있는 우리들은 서자.. 삼신할미 이야기 2011.07.05
음력 시월상달 초사흘 <단군제> 열려 음력 시월상달 초사흘 <단군제> 열려 국학원 창립 이후 최초로 굿판 열어 무교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 담긴 민족 종교 지난 양력 10월 3일 ‘개천절’에 정부를 비롯하여 민족단체에서 우리 민족의 생일을 기념하고 단군의 이념인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널리 실천하자는 행사가 있었다. 그.. 무천 리포트 2010.11.03
무교가 사회에 끼치는 순기능 무교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 무교는 우리 민족의 조상이자 인류 창조신인 삼신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유인시대를 거쳐 한인시대에 우리 조상들이 이 땅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면서제일 먼저 행한 것은 삼신, 즉 하늘에 대한 감사의 제례였다. 한웅시대의 참교를 거쳐 단군시대의 덕교, 그리고 예맥.. 삼지창 칼럼 2006.11.24
업신이 된 '부루' 업 신이 된 부루단군 최초의 무당을 탄생케 한 부루 무신으로 추앙받는 부루 부루 단군이 살아 전에 태자시절 때부터 왕검시절까지 뛰어난 능력과 위엄을 널리 떨치면서 백성들을 위하여 너무나 많은 선정을 베풀어, 온 백성들이 추앙을 하였다. 「BC 2183년 부루 단군께서 붕어하시니 이 날 일식이 있.. 무속(東夷)의 신 2006.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