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 이야기

무당의 시작과 역할

愚悟 2013. 7. 28. 11:52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된 가람문고본에 난곡蘭谷이라는 호를 가진 사람이 조선조 말기에 무당에 대한 기록을 <무당내력巫黨來歷>이란 책으로 남겼다.

 

이 책에 서문에상원 갑자 103일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에 강림하니 이가 바로 단군檀君이다. 이에 신교를 창설하여 교화시켰다. 장자 부루扶婁는 어질고 복이 많은 까닭에 인민이 존경하고 신임하여 후일 터를 골라 단을 쌓고 토기에 벼 곡식을 담아 풀을 엮어 가려 놓으니 이를 가르켜 <부루扶婁단지> 또는 <업주가리>라고 하였다. 매년 시월에 새곡식으로 시루떡, , 과실을 올려 치성 기도하였다. 기도 시에는 반드시 나이 많은 성숙한 여자를 쓰는데 세상에서는 이 사람을 무인巫人이라고 불렀다. 그 후 무인의 수효가 증가하여 무당이라고 이르게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상고시대의 무당은 하늘에 제를 올리고 백성들에게 계를 가르쳐 교화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였기 때문에 당연히 한인천제, 한웅천왕, 단군왕검 그 자체가 제사장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기록을 보면 무인巫人이라는 공식적인 말이 부루단군이 돌아가시고 백성들 사이에 일어났던 부루단군을 추모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부루단군을 추모하는 과정에서 나이 많은 성숙한 여자들에게 영적인 힘이 생기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무인이라 불렀다고 했으니 제사장이 아닌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처음으로 무당이 탄생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우리의 무당을 불교에서 파생된 것으로 왜곡하기 위하여 이상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었다.

 

법우화상이 지리산 계곡에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계곡의 물이 불어나 그 근원을 알고자 천왕봉 꼭대기에 올랐는데 그 곳에서 성모천왕이라는 키가 크고 힘이 센 여인을 보았다. 그 여인은 하늘에서 인간 세계로 귀양 내려와 법우화상과 인연을 맺고자 물의 도술을 부렸다 하였다. 그리하여 성모천왕과 인연을 맺어 여덟 명의 자손을 두었는데 모두 무술巫術을 가르쳐 금방울과 부채를 쥐고 춤을 추고 아미타불과 법우화상을 부르며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무업을 하면서 무당이 되었다.고 어처구니없는 소리를 하고 있다.

 

단군 가륵이 법우화상보다 훨씬 먼저 있었건만 불교에서는 자식이 아비를 낳았다고 우기는 것과 같이 우리의 무교를 변질 잠식하고 있다.

그리고 1960년대까지만 해도 무승巫僧이라고 하여 천도제나 영산제를 담당하는 춤추는 승려집단이 있었다. 지금 사물놀이에서 재현하는 비나리역시 무승들이 하던 것으로, 무승들은 승려들 사이에서 천하다고 무시를 받았으며 대웅전에도 마음대로 들어가지 못하였다고 한다.

 

<삼한관경 본기 제4한웅천왕이 제사를 지내려 갈 때 풍백은 천부를 거울에 새겨 앞서가고 우사는 북을 치며 주위를 돌면서 춤을 춘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풍백이 천부의 거울을 들고 앞서갔다는 것은 거울은 태양이며, 신체神體왕권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것은 지금 무당들이 지니고 있는 명두明斗로 볼 수 있다. 또 우사가 북을 치며 주위를 돌면서 춤을 춘다는 것은 하늘의 신을 맞이하러 가는 사람, 즉 무당들이라고 할 수 있다. 북을 치면서 주위를 돈다는 것은 지금 여러 명이 소고를 치며 원을 그리며 도는 소고춤으로 전해졌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성모천왕이라는 있지도 않는 여인을 만들어 법우화상과 혼인을 하는 것으로 각색을 하였다. 이것은 불교가 무교를 흡수하였다는 것으로 해석도 되고, 아니면 불교의 교세를 확장하기 위하여 강력한 걸림돌인 무교를 흡수하기 위하여 불교와 부부의 연을 맺었으니, 즉 무불일체巫佛一體라고 말하면서 무교를 잠식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이렇게 세월이 흐르면서 자꾸만 외부 세력에 의하여 변질된 무교는 현재에 와서는 무당이라는 말 자체가 천하게 느껴지고 폄하하는 말로 들리게 되어 무당들도 무당이라는 말을 싫어한다. 그러나 무란 낱말을 풀이해 보면 무는 공자에서 비롯되었다. 단군시대에 공공共工이라는 벼슬이 있었다. 은 일을 업으로 삼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숙달된 사람이라는 뜻이다. 공공共工은 하늘에 제를 지내고 하늘의 뜻을 전하는 일을 맡아 하는, 즉 단군왕검의 일을 대신 맡아서 잘 처리할 사람이란 뜻이다.

공공이라는 관직이 고려 때는 재상宰相으로, 후대에서는 대감大監으로 명칭이 변하였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후대까지 공공이라는 관직이 있었다. 이 공자에 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것이 무자이다. 자에 들어간 두 사람은 즉 단군왕검을 대신하여 하늘과 땅에 제를 올리는 일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던 남녀 두 사람을 말한다. 즉 남무男巫와 여무女巫인 것이다.

 

 

<설문해자>

劑肅事神明也  在男曰覡 在女曰巫 라 하였다.

능제숙사신명야       재남왈격 재여왈무

 

<초어楚語>

神明降之在   男曰覡女曰巫 란 기록이 있다.

신명강지재   남왈격여왈무

 

, 남자 무당은’, 여자 무당은 라는 기록이다.

을 축이라고 한다. 남자 무당인 이 하는 종교행위는 제사를 주관하고 축문祝文을 읽는 행위이다. 오늘날 법사라고 불리는 경을 읽는 사람들이 모두 남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의식에서 제사의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자 무당인가 하는 행위는 하늘에 원하는 바를 몸짓으로 표현하였는데 그것이 지금의 굿으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가 있다.

 

<설문해자> 를 이렇게 기록하였다.

女能事無形   而舞降神者也   象人兩袂舞形

여능사무형   이무강신자야    상인양몌무형

 

여자가 형체가 없는 일을 능하게 하는 것은, 춤을 춤으로써 신을 내려오게 하는 자로, 긴소매의 옷을 입고 춤추는 사람의 형상이다.

 

이 기록은 무당들이 굿을 할 때 소매가 긴 옷을 입고 춤을 주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때 무당들이 춤을 출 때 손에 들고 추는 것이 바로 모우旄牛 라는 소의 꼬리라는 것을 증명하는 기록이 있다.

 

旄旄牛尾  舞者所持以指麾 <강희자전>

모모우미  무자소지이지휘

 

모는 희고 털이 긴 소의 꼬리다. 춤을 추는 자가 쥐고서 흔든다.

 

, 모우라는 흰소의 꼬리를 쥐고 흔들면서 굿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우리 속담인 소꼬리 잡은 놈이 임자란 말이 나온다.

오늘날 무당들이 굿이 떨어졌다, 굿을 띄었다, 굿을 맡았다고 한다. 굿이 떨어졌다, 굿을 띄었다, 굿을 맡았다는 것은 하늘에서 무당에게 일을 맡겼다는 뜻이며, 굿을 띄고 일을 맡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자는 임자가 된다.

굿을 맡는다는 것은 곧 하늘로부터 천제를 지내는 일을 맡은 대리자라는 뜻으로, 임자가 나오고 임자에서 왕검이란 말이 나오고 이 말이 변하여 이사금이나 임금으로 변했다.

 

신라 방언에 무당을 차차웅次次雄이라 하는데 차차웅이 제사를 숭상하고 신을 섬김으로써 그를 경외하여 불렀다고 한다.

차차웅()을 무당이라고 하는 것은 신시 한웅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다. 또한 단을 설치하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므로 단군이라고 불렀다. 단군이란 하늘의 아들로서 신의 권한을 대신하는 사람이다. 이렇듯 무가 지니고 있는 뜻은 크고 엄숙하다.

무당이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옛 기록을 보면 무당의 자를 무리 자를 쓴 것을 볼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무당巫黨은 여러 명의 무당을 말하는 것으로 무함국에 거주하던 무당들이 아닐까 한다.

 

<산해경/해외서경>의 기록을 보면 무함국巫咸國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무함국은 여축의 북쪽에 있다. 오른손에는 푸름 뱀을 왼손에는 붉은 뱀을 쥐고 등보산에 있는데, 이 산은 여러 무당들이 하늘로 오르내리는 곳이다.

 

, 무함 무즉 무반 무팽 무고 무진 무례 무저 무사 무라 등 열 무당은 무함국에 거주하던 무당이며, 이들은 최초의 신의神毉였을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기록이 있다.

 

<희남자 설산훈>醫師在女曰巫 의사재여왈무라는 말이 있다.

 

<대황남경>를 보면 무산巫山이라는 곳이 있는데 그 서쪽에는 황조黃鳥가 있다. 천제의 약을 넣어둔 곳간이 여덟 채인데 황조가 무산에서 이 검은 뱀을 살피고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해내남경>에도 무당들은 불사약을 가지고 있다는 기록들이 나오는 것으로 봐서 그 당시 무당들은 제사장의 개념보다 신의神醫로서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말은 바로 무녀가 바로 의사라는 말이다. 지금도 병원이나 의사라는 뜻의 ’()자에 무당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그리고 지금 흔히 말하는 무당은 개인을 나타내는 말로써, 무당이라는 자가 가지는 의미는 사뭇 지금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는 토지신을 지키는 모습에서 만들어진 한자라고 하니 자가 지니고 있는 뜻은 지키고 바로 세운다는 뜻이다.

 

그러면 무당巫堂이라는 말은 하늘과 땅의 이치를 바로 세우는 사람, 즉 천신과 지신으로부터 천지만물의 이치를 백성들에게 바로 알려서 황궁씨가 명하신 해혹복본解惑複本을 이룩하는 사명을 맡은 사람이 무당인 것이다. , 하늘과 땅의 이치를 바로 세우는 사람, 즉 천지인의 우주 섭리를 가르치고 지키는 막중한 임무를 맡은 사람이 무당인 것이다.

이렇듯 막중한 임무를 띠고 이 땅에 살아가는 무당들이 시대의 변천과 무당들의 무지로 천한 계급으로, 아주 무식한 집단으로 추락하게 된 것에 대해 누구를 탓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반성하고 노력하여 무당이라는 말을 그 어떤 말보다도 존경의 대상이 되는 말로 바꾸어 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