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 이야기

설과 떡 이야기

愚悟 2021. 2. 11. 20:16

<설과 떡 이야기>

 

<>이란 새로운 봄의 기운을 세우는 날로 다른 말로 입춘(立春)인 것이다. 입춘이 바로 설날 전후에 있다는 것이 이것을 반증한다. 중국에서는 춘절(春節)이라 한다.

춘절은 바로 봄이 시작된다는 의미로 봄은 양을 의미하므로 대문 앞에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란 입춘첩을 붙여서 봄, 즉 양기를 바로 세워 복을 기원하는 것이다.

<>을 다른 말로 원단(元旦), 세수(歲首) 라고도 한다. <>을 신일(愼日)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은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라는 말이다. 예전에는 섣달 그믐날이면 골목 여기저기서 복조리를 한 짐 메고 복조리 사라는 외침이 밤새 울려 퍼졌다. 그러면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소요되는 복조리를 사게 된다. 밤에 미처 사지 못한 가정은 설날 아침 일찍 사거나 미리 부탁을 하여 가져오게 한다.

이렇게 복조리를 사는 이유는 1년 동안 복을 많이 받고자 하는데서 비롯되었는데, 바로 칠성님의 복을 받고자 하는데서 비롯되었다. 칠성의 두 번째 별인 천선성은 하늘의 보물창고로 인간의 식록을 주관하므로 이 별의 조응을 받으면 부자가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런 믿음은 복조리뿐만 아니라 복주머니를 달고 다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설날 밤에는 하늘에 있는 <야광귀>란 귀신이 내려와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사람들의 신을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고 한다. 이 때 신발을 도적맞은 사람은 그해 일 년 동안 액운에 시달리고 재수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설날 밤에는 모두 신발을 방에 들여다 놓고 잤다. 이 야광귀를 막기 위하여 대문에 금줄을 치고 화약을 터뜨려 쫓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야광귀 퇴치법으론 기둥이나 마당에 높은 장간(長竿)을 세워 채를 걸어두면 야광귀가 하늘에서 내려와 채를 발견하곤 채의 눈이 많으므로 몇 개나 되나 헤아리다 자꾸 헷갈려서 밤새 채만 헤아리다 닭이 울면 미처 신발을 훔쳐가지 못하고 돌아간다고 한다.

 

설은 떡방아간이 가장 바쁜 곳이다. 우리 민족은 시절 마다 꼭 떡을 해서 이웃들과 나눠 먹었다. 그러면 이 떡의 어원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떡의 어원은 바로 덕()이다. 덕이란 어진 행동으로 많은 사람에게 이롭게 베푸는 것을 의미한다. 이 덕()은 단군왕검이 조선을 다스린 기본 정신으로 덕()으로 백성들을 교화하고 다스렸기에 이것을 덕치(德治) 하였다. 이 덕치에서 비롯된 단군왕검의 사상이 홍익인간이다.

떡은 단군왕검의 크고 넓은 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떡은 단군왕검의 상징이 되었다. 우리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아'라고 하는 말은, 이 두터운 후덕한 자식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그럼 우리민족이 때가 되면 즐겨 해먹는 떡을 노래한 타령과 종류를 살펴보자.

 

먼저 떡의 종류를 이야기 한 타령을 살펴보자.

정월 대보름 달떡이요,

이월 한식 송병松餠이요,

삼월 삼진 쑥떡이라

사월 팔일 느티떡에,

오월 단오 수리치떡,

유월 유두에 밀정병이라

칠월 칠석에 수단이요,

팔월 한가위 오려 송편,

구월구일 국화떡이라

시월상달 무시루떡,

동짓달 동짓날 새알시미,

섣달에는 골무떡이라

 

그리고 지역적 특징을 나타내는 떡타령도 있다.

산중 사람은 칡뿌리떡,

해변 사람은 파래떡,

제주 사람은 감자떡,

황해도 사람은 서숙떡,

경상도 사람은 기정떡,

전라도 사람은 무지떡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떡의 특징을 묘사한 떡타령도 있다.

얼기설기는 무시루요,

두 귀가 번쩍은 송편이며,

네 귀 번듯은 인절미며,

빈들빈들 빈대떡이요

도장을 맞았다 절편이야등이다.

 

떡의 종류와 의미

 

가래떡 : 엄숙하고 깨끗한 마음으로 시작하여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백설기 : 하얀 눈처럼 깨끗하고 소박함을 의미하며 완전함을 기원한다.

수수팥떡 : 잡귀 잡신을 물리쳐 액을 면하라는 의미로 도깨비 떡이다.

인절미 : 마음과 육체가 찰떡같이 하나로 붙어 헤어지지 말라는 뜻이 담겨 있다.

쑥떡 : 쑥의 강인한 생명력과 뿌리를 지키는 정신을 의미

무지개떡 : 팔선녀를 의미하고 있으며 복과 재물을 기원하고 새로운 희망을 나타낸다.

절편 : 흰색, 쑥색은 부부간의 조화를 의미한다.

수리취떡 : 모든 잡귀를 물리치고 건강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

송편 : 삿된 기운을 쫓아 몸과 마음을 깨끗이 정화하고 반듯한 선비를 상징

해떡 : 밝은 태양의 기운이 집안에 가득 들어와 좋은 일만 가득하라는 의미다.

달떡 : 보름달처럼 곳간 가득 재물을 채워달라는 의미로, 풍년과 만선을 기원하는 뜻.

천두떡 : 천도복숭아 모양으로 만든 떡으로, 칠성신에게 바치며 재물과 수명장수를 기원.

기미떡 : 하늘의 별에게 바치는 떡으로 일 년 농사가 풍년이 들기를 기원.

느티떡 : 해모수 기리기 위하여 만주에서 신목으로 여기고 있는 느티나무의 이름을 딴 느티떡이나 증편을 해 먹는다. 무오병(무시루떡) : 시월상달 중 일 년을 마무리 하는 고사나 굿을 할 때 바치는 떡이다.

팥시루떡 : 동지 중 애동지 때 팥죽을 대신하여 사용한다. 잡귀신 등을 물리친다.

석탄병 : 쌀가루와 감가루를 섞어 계핏가루와 잣 밤 대추 등으로 맛을 낸 떡으로 자손 번창과 조상을 잊지 않는다는 의미가 있다.

화전주악 : 아름다움, 고상함. 품위를 의미다.기주증편 : 무병, 탈 없음을 기원하는 의미다.

봉채떡 : 부부의 금실 및 화목, 액막이의 의미다. 봉채떡은 혼례 전 함을 맞이할 때 만들던 떡이다.

골무떡 : 천지만물의 신령의 은덕에 감사하며 보답하는 의미다.

온 시루떡 등 : 다가올 새해의 나쁜 액을 물리치기 위한 의미다.

 

단군의 덕으로 비롯된 떡을 즐겨 먹는 민족은 홍익인간을 실천하는 올바른 자세로 살아야 한다. 홍인인간을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한다.”고 해석하여 굉장히 실천하기 힘든 사상으로 만들었다.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려면 무슨 권력이나 돈이 많아야 할 수 있는, 일반인들은 할 수 없는 막연한 개념이다.

弘益人間의 올바른 해석은 사람과 사람사이를 널리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누구나 자기를 중심으로 주변사람들을 이롭게 하면 홍익인간을 실천하는 것으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보편적인 사상인 것이다.

신축년 새해에는 나의 주변 모든 사람들을 이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해 보자.

 

 

 

 

 

'무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의 통로 나무이야기  (0) 2022.08.14
무속이 미신이라고?  (0) 2022.08.10
칠월칠석을 맞이하여  (0) 2020.08.24
한양굿의 계면굿  (0) 2018.05.30
구릉거리(군웅君雄거리)   (0) 2018.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