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貢壽와 공수空授
우리 무당들이 굿을 할 때는 반드시 공수라는 것을 준다. 언제부터 공수를 주게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굿을 하는 목적이 바로 신의 가르침이라는 이 공수를 받기위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굿을 직접 의뢰하였거나 혹은 굿판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이 무당들이 내뱉는 말 한마디 즉 공수에 일희일비하면서 공수를 내릴 땐 좋은 공수가 내리길 긴장을 하고 기다린다. 그런 관계로 무당들도 굿을 의뢰한 제가집에 내리는 공수 이외 굿을 참관한 사람들에겐 가급적 좋은 공수를 주려고 한다. 또 그런 것들은 덕담수준의 공수라고 하여도 좋을 것이다.
옛날에는 空昌이라고 하여 <고려사>, <세종실록> 등 옛 문헌에 기록된 것을 보면 "공창은 사람의소리가 아닌 신령의 소리로서 이 소리에 의하여 길흉화복을 판단하고 점을 치며 죽은 사람의 소식이나 음성을 듣는다. 라고 하였다." 특히 공창은 무당들이 직접 입으로 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하늘에서 이 소리가 들리는듯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공창에 현혹되어 굴복하고 복종하여 많은 폐단이 있었다고 한다.
신시의 음악이란 하늘에 제사를 올릴 때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연주하는 음악이다. 이 음악은 처음으로 인간들이 우주의 소리 즉 천지창조의 소리를 재현하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생황을 비롯하여 하늘의 소리라는 장구와 땅의 소리라는 징 등 지금 굿판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악기들이 사용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이 음악들은 신의 가르침을 받기위하여 즉, 공수를 받기위하여 신을 즐겁게 하는데 사용되었을 것이며, 이 음악을 연주하며 신께 제사 드릴 때 그 당시 무당인 제사장을 비롯한 참가자들이 목숨을 바쳐 국태민안 등 원하는 바를 기원하였다는 뜻일 것이다.
공수를 다른 말로는 두열頭列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무리는 둘러서서 줄지어 합창으로써 삼신으로 하여금 크게 기쁘시게 하고, 나라가 번영하여 민심이 윤택해질 것을 빌었다고 하였다. 두열은 제사를 지낼 때 제사장인 무당을 비롯하여 여러 사람이 줄지어 서거나 앉았을 것이다. 이 때 무당을 비롯한 무리의 우두머리들이 목숨을 걸고 신시의 음악을 신께 바치고 또 하늘의 소리를 듣고 스스로 깨우치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리와 주리는 같은 의미로 어떤 일을 해나가는 도리 또는 경로를 이야기 한다. 그러면 공수는 바로 어떤 어려운 일을 해결하기위한 경로로 도리를 신이 무당의 입을 통하여 알려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삼국사기>에서 도솔이라고 한 것은 도솔천의 준말이라고 할 수 있다 도솔천이라는 도교의 태상노군이 계시는 하늘을 이야기 한다. 즉 도솔이라는 말도 하늘에서 내리는 신의 소리라는 뜻이다. 그러면 공수는 바로 신시시대 하늘에 제사를 드리면서 신에게 어떤 가르침을 받기위한, 지금 당장 직면한 어려운 일을 해결하기 위한 지혜를 깨우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그러나 신의 공수를 받기위해선 목숨도 신께 바칠 수 있다는 각오와 올바른 마음에서부터 우러나오는 정성이 어우러져야 하늘의 공수를 받을 수 있다는 뜻일 것이다. 그러기에 공수를 받을 때는 신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바른 자세로 공손히 받아야 더욱 공수의 효과가 있고 복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굿을 할 때 공수는 두 가지로 나뉜다. 흘림공수라고 하여 춤을 추는 도중에 잠깐 짧게 내리는 공수와 춤을 마치고 제가집 앞에 서서 울리고 웃기고 긴장시키며 본격적으로 주는 공수를 긴공수라고 한다. 그리고 굿을 구경하기위하여 참관한 사람들에게도 가끔 공수를 준다. 특히 요즘은 학자들이 굿을 연구하기 위하여 많이 참관하는데 무당들은 학자들을 예우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보다 먼저 공수를 준다.
이때 주는 공수는 보통 덕담수준으로 좋은 이야기만 하게 된다. 그러나 가끔 굿을 연구한다는 학자들이 이런 공수를 받을 때 자리에 앉아 공수를 주는 무당을 무시하는 태도를 취하거나 공수를 믿지 않는 말투나, 공수가 맞지 않다는 식의 태도를 취하는 것은 굿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무속을 연구하는 목적과 그 학자의 인격을 의심받게 될 것이다. 또한 학자라는 우월감에 빠져 무당들을 무시하는 태도가 아닌가 하는 오해를 받을 소지가 다분히 많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 여겨진다.
또한 무당들도 굿을 할 때 너무 공수를 남발하여 공수貢壽가 아닌 공수空授 즉 헛소리를 많이 지껄이는 것이 아닌가 스스로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즉 공수는 즐겁고 건강하기를 신에게 기원하고 순리에 따라 족함을 안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하였다.
지금의 공수와 “즐겁고 건강하기를 신에게 기원하는”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된다. 공수가 한자의 뜻대로 하늘에 무당의 목숨을 바쳐 그 집안이 즐겁고 건강하기를 기원하는 것이라면 무당이 굿을 맡을 때는 신중하게 처신하여야 하고 또 목숨을 걸고 정성을 드려야 한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낸 말이라 하겠다.
지금 굿을 맡아 정성을 드리고 있는 많은 무당들이 허공수를 남발하고 있으니 그 무당들은 목숨이 몇 개라도 모자랄 것이다.
'무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수와 성수 (0) | 2006.01.21 |
---|---|
일본의 내림굿 (0) | 2006.01.16 |
[스크랩] 웅상과 크리스마스트리 (0) | 2005.12.26 |
[스크랩] 크리스마스와 동짓날 (0) | 2005.12.26 |
[스크랩] 동짓날과 해맞이 (0) | 2005.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