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새남굿의 어원
우리 굿에서 죽은 망자를 천도하는 굿을 진오귀라고 한다.
이 망자천도굿은 지방마다 명칭을 조금씩 다르게 부른다.
서울 〮경기 지방을 비롯하여 황해도는 진오기, 충청도와 경상도는 오구굿, 제주도는 시왕十王맞이, 평안도는 수왕굿, 함경도는 새남굿 또는 망묵굿 〮망무기굿 등으로 부른다.
이 중에서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굿이 바로 서울의 새남굿이다.
새남굿은 서울지방의 전통적인 망자천도亡者薦度굿으로, 보통 진오기 또는 진오귀라 부른다. 보통 평민들이 죽으면 진오기, 중류층은 얼새남, 상류층은 새남굿이라 부르는데 이러한 호칭은 조선시대가 엄격한 계급사회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서울새남굿은 안당사경 맞이와 망자천도굿인 새남굿으로 짜여져 있다.
안당사경 맞이는 서울ㆍ경기지역의 전통적 재수굿의 형태로 새남굿의 전날 저녁부터 이튿날 새벽까지 굿을 한다.
이렇게 안당사경 맞이를 먼저 하는 것은, 망자를 모시고 천도하기 전에 신령님들과 구조상들을 모시고 먼저 대접을 하는 것이다.
거리 순서는 주당물림에서부터 시작하여 부정ㆍ가망청배ㆍ진적ㆍ불사거리ㆍ도당거리ㆍ초가망거리ㆍ본향거리ㆍ조상거리ㆍ상산거리ㆍ별상거리ㆍ신정거리ㆍ대감거리ㆍ제석거리ㆍ성주거리ㆍ창부거리ㆍ뒷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당사경이 끝나면 새남굿을 시작하는데, 새남부정거리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이어서 가망청배 · 중디밧산 · 사재삼성거리 · 말미거리 · 도령(밖도령) · 문들음 · 영실 · 도령(안도령) · 상식 · 뒷영실 · 배가르기 · 시왕군웅거리 · 뒷전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새남굿은 오랜 시간 안밖으로 굿을 하기 때문에 예전부터 아주 큰굿으로 쳤다.
악사도 쌍잽이로 6명이 들어갔으며 만신 역시 노련한 만신들이 최소한 5~6명이상은 들어 간다.
또 새남굿에서 사용되는 제물들 중 갖은 떡은 특별한 떡으로 아무나 만들 수 있는 떡이 아니다. 지금도 새남굿보존회에서 한사람만이 이 떡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 외 새남굿에서는 많은 장엄구가 사용되는데, 사용되는 장엄구 역시 다른 굿과 달리 엄숙하고 정교하게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새남굿은 유 〮불 〮선이 다 포함되어 있는 굿이다.
불교의 영산제가 들어가고 유교의 제사가 들어가고, 그리고 선교라고 할 수 있는 굿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영산제를 비롯한 불교의 신인 지장보살이 ‘연지당’이라는 이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가 지장보살이라고 단순히 알고 있는 지장보살의 진짜 이름은 ‘유명교주남방화주대성고혼천도지장보살’이다. 너무나 긴 이름이기에 편하게 그냥 지장보살이라고 부르고 있다.
지옥에 빠진 어머니를 찾아 헤매다 어머니를 극락세계로 인도하였다는 지장보살은 그 후로 죽은 망자를 극락세계로 천도한다는 보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장보살을 보시는 연지당과 극락세계로 보내는 길에 춘다는 영산제는 처음에는 없던 것이 어느 때부턴가 많은 금전을 받다보니 슬그머니 집어넣은 것이 아닐까 한다.
무교를 천시하던 시절 그래도 무교보다 종교로 인정받고 대우를 받는 불교의 의식을 접목시킴으로써 많은 금전을 지불한 제가집이 가질 수 있는 이런 저런 시비거리를 미리 차단하고 망자를 위하여 유불선을 총 동원하여 최선을 다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이렇게 서울에서뿐만 아니라 전국에서도 유명한 새남굿의 이름이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자세하게 아는 사람이 드물다.
서울굿의 원로이신 장성만 선생의 이야기를 빌리면 새남굿은 세 가지의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첫째는 새남이라는 글자를 한자로 쓸 때는 새남賽南 이라고 쓴다고 한다.
여기서 ‘새賽’는 굿을 하다는 의미로 신이 베풀어 준 은혜에 감사하여 드리는 제사라는 뜻이 담겨 있다.
또 ‘남南’은 남쪽을 나타내며, 바로 남두육성을 의미한다. 남두육성은 바로 노인들의 수명을 관장하는 별이다.
그러니 살아생전에 신들이 베풀어준 은혜에 감사하는 의미로 죽어서 드리는 제사가 바로 새남굿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둘째는 새남이라는 의미는 지금 노량진 본동 부근에 있던 ‘새남터’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새남터’는 어떤 곳인가?
바로 조선시대에 죄인들의 목을 베는 곳이다. 그것도 일반 죄인들이 아니라 국란을 문란하게 한 중죄인들을 처벌하는 곳이다.
즉, 일반인들이 아닌 사대부들의 죄를 다스리는 곳이다. 그래서 이 ‘새남터’에서 죽은 영혼들을 달래주는 진오기 굿을 새남굿으로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새남이란 말 속에는 “살아서 죄를 짓고 이렇게 죽어가지만, 죽은 후에는 이상세계에서 죄를 짓지 말고 편히 살아라.”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셋째는 평양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황주에는 ‘동설령’이라는 큰 고개가 하나 있었다고 한다.
이 고개를 넘기가 얼마나 힘이든지 이 고개를 일명 새남고개라고 하였다고 한다.
죽을 만큼 넘기 힘든 고개라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새남이라는 말의 어원이 세 가지로 밝혀졌다.
어떤 이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이 정도라도 풀이할 수 있는 <장성만> 선생은 이 시대에 아주 귀중한 스승이며 무속에서 없어서는 안 될 아주 보물 같은 분이기도 하다.
항상 궁금하게 생각하던 ‘새남’에 대한 어원을 설명해 주신 장성만 선생님께 다시 한 번 깊은 감사들 드린다.
<출처를 밝히지 않는 무단복사 절대금지>
'무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에 존재하는 태양의 신 (0) | 2009.06.09 |
---|---|
<IPTV 무속방송> (0) | 2009.06.08 |
[스크랩] 떡타령 - 김 유감(서울 큰 무당) (0) | 2009.05.19 |
굿을 하기 위한 선금의 반환은 어찌하면 좋을까? (0) | 2009.05.04 |
여성스러워 지는 박수, 남성스러워지는 무녀 (0) | 2009.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