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나는 무당이다. 2편 그래, 나는 무당이다 2회에서는 무교인의 탄생, 신내림굿을 다뤘습니다. 신병과 무병의 차이점 그리고 신내림의 과정을 무속 칼럼리스트 조성제와 이자칼 이원섭 작가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따끈따근한 무교뉴스는 덤으로 듣습니다 많은 청취 바랍니다. 진행 삼신할미 조성제 해.. 그래! 나는 무당이다 2013.06.13
염주의 기원과 의미 염주의 기원과 의미 불교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염주는 인도의 부라만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였다가 불교로 보급되었으며 다시 인도에서 유럽으로 전해져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염주는 신에게 기원할 때나 번뇌에서 벗어나.. 삼신할미 이야기 2013.04.10
치우천왕 깃발 해석 <뚝섬 둑신사에 있었던 도깨비와 치우깃발> 배달나라 14대 한웅천왕인 치우천왕은 우리들에게 아주 특별한 조상이다. 본래 지오지 천왕이지만 치우천왕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도깨비대왕으로도 불리고 있다. 도깨비 대왕이라고 부르는 연유는, 치우천왕은 갈로산에서 주석과 .. 삼신할미 이야기 2013.03.20
무신도가 가지는 의미 무신도巫神圖는 신병을 통해 신의 존재를 체험 한 강신무가 모시는 신의 초상이다. 무화巫畵, 무속화, 맞이, 화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무화는 신의 화상뿐만 아니라 무구에 그려진 그림이나 무의식을 할 때 그리는 간단한 그림 등을 포함, 굿하는 장면이 묘사된 민화까지도 포함한다. .. 무속 이야기 2013.03.13
명두明斗 가 가지는 의미 명두明斗 무당이면 누구나 명두를 한두 개는 가지고 있으며 명두를 달리 명도, 동경銅鏡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엄격히 구분하면 동경과 명두는 사용 방법이 확연히 구분된다. 또 명두를 비롯한 여러 무구를 신기물이라 하는데 기물을 다른 말로 귀명鬼明 또는 기명이라고도 한다. 무당.. 무속 이야기 2013.02.27
백샤먼과 흑샤먼 백샤먼과 흑샤먼 시베리아 지방의 북방샤먼들은 크게 백샤먼과 흑샤먼으로 구분한다. 백샤먼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선신善神을, 흑샤먼은 불행을 초래하는 악신으로 알려져 있다. 선신과 교통하는 백샤먼을 <사가니 뵈>라 부르고 악신과 교통하는 흑샤먼을 <카라인 뵈>라고 부른.. 무속 이야기 2013.02.15
몸 부적 써 줄게, 천문 열어줄게 몸 부적 써 줄게, 천문 열어줄게 몸 부적? 천문? 천문 열어준다는 뜻은 하늘의 문을 열어준다는 뜻으로 알겠는데 몸 부적은 도대체 이해가 안된다. 내림굿을 하고 난 뒤 제대로 불리지 못하는 무교인들에게 듣는 소리다. 말인즉, 내림굿을 하고 난 뒤에 제대로 무업을 이행하지 못하는 무.. 삼지창 칼럼 2013.01.13
내림굿을 실패했다고요? 내림굿을 실패했다고요? 오늘 MBC ‘이야기 속 이야기’ 란 프로에서 내림굿을 비롯한 무속피해사례를 찾아 방송하려고 한다고 협조 전화가 왔다. 새해에 접어드니 종편을 비롯하여 방송에서 연일 무속피해를 고발하는 프로를 흥미위주로 제작하고 있다. 무속피해 프로에 인터뷰를 많이 .. 삼지창 칼럼 2013.01.09
엑소시스트, 퇴마사들은 자신을 죄를 아는가? 네 죄를 네가 알렸다. 며칠 전 젊은 부부가 근심스러운 얼굴을 하고 필자의 사무실로 찾아왔다. 특히 부인의 얼굴은 근심으로 찌든 그런 얼굴이었다. 사연인즉, 방송에서 엑소시스트로 유명세를 탄 무속인에게 남편이 하는 일이 잘 될까 싶어 갔다고 한다. 정성을 드려야 잘된다고 하여 35.. 삼지창 칼럼 2012.11.03
충청도 앉은굿 김용복 법사 설위설경 전시회 열려 <김용복 법사와 부인 그리고 제자들> <앉은굿의 명인 김문겸 선생에게 사사받는 김용복 법사> 8월 1일 부터 남산 한옥마을 전통공예전시관에서 충청도 앉은굿의 명인 김용복 법사의 설위설경 전시회가 서울시문화재위원 양종승박사를 비롯한 무속학자와 환타임스 김인배대표, .. 무천 리포트 201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