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의 유래와 의미
세계에서 우리민족 만큼 떡에 대한 애착과 종류가 많은 민족도 드물 것이다.
떡의 유래는 단군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떡의 어원은 바로 덕德에서 나왔다. 덕이란 어진행동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을 의미한다. 이 덕은 단군시대에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의 기본으로 자리 잡은 덕치德治에서 비롯되었으며, 이것이 단군시대의 종교인 덕교德敎를 탄생하게 한 것이다.
덕치나 덕교는 바로 단군왕검의 크고 넓은 덕을 의미하는 것으로, 덕은 단군왕검의 상징이 되었다. 우리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나아라고 하는 말은 바로 단군왕검 같은 아들을 나아라는 의미이다.
우리민족은 매달 때가되면 떡을 하여 혼자먹지 않고 반드시 이웃들과 나눠 먹었다. 이렇게 나눠먹는 것이 바로 덕을 베푸는 것으로 덕교의 실천인 것이다.
우리민족이 때가 되면 즐겨 해먹는 떡의 종류와 그 의미를 살펴본다.
계절에 맞는 떡의 종류
1.설날: 가래떡 - 엄숙하고 깨끗한 마음으로 시작하여야 한다는 의미
2.정월 대보름:
오곡밥 - 질병과 나쁜 액을 막는 날이다. 지금도 무당들이 부정을 칠 때 오곡으로 친다.
약 식 - 늙은 부모를 공양하는 유일한 새인 까마귀의 지혜와 은혜를 배움
3.입춘절식: 입춘채, 기협육읍(畿狹六邑)에서 움파, 산갓, 당귀싹(辛甘草), 미나리싹, 무싹 등의 오신반(五辛盤)을 주고 받음
4.중화절: 송편 - 음력 2월1일이 되면 상전이 노비에게 송편을 나이수대로 해먹이고 새해농사를 시작하는데 열심히 해달라는 대접
중화절은 정조(正祖) 때부터 시작하여 후기까지 계속된 풍속으로 이 날이 되면 어전(御殿)에서 왕이 자[尺]를 재상(宰相)과 시종(侍從)하는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어 중화절임을 알렸다. 이 자를 중화척(中和尺)이라 하며 얼룩무늬가 있는 반죽(斑竹)이나 이깔나무로 만들었다. 왕이 신하들에게 자를 나누어 주는 뜻은 농업에 힘쓰라는 것이며, 중국의 풍속을 본뜬 것이다.
5.삼월 삼짇날: 진달래화전 - 삼신할머니께 집안의 우환을 없애고 소원 성취를 비는 신제
6.한식: 쑥 떡 - 중국 진나라의 개자추를 추모하는 의미로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쑥떡을 해먹는 것은 쑥의 강인한 생명력과 뿌리를 지키는 정신을 배우자는 의미로 단군왕검을 상징하는 쑥떡을 해 먹음.
7.곡우절: 개피떡, 장미화전, 환병과 산병 등
8.초파일: 느티떡 - 해모수의 탄생일로 해모수 기리기 위하여 북방에서 신목으로 여기고 있는 느티나무의 이름을 딴 떡, 그 외 증편
9.단오: 수리취절편, 쑥 인절미 -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집안 식구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
10.유두: 흰떡수단, 유두편, 상화병, 밀전병 - 더위를 잊기 위함 액막이를 한다. 논에 나가 용신께 풍년을 기원
11.칠석: 증편- 술로 반죽하여 발효시킨 것으로 무더위에도 잘 변하지 않는다.
주악- 기름에 튀긴 떡으로 쉽게 상하지 않는다.
12.백중절: 석탄병 - 쌀가루와 감가루를 섞어 계핏가루와 잣 밤 대추 등으로 맛을 낸 떡
13.추석: 송편, 인절미- 햇곡식으로 천지신명과 조상님께 감사하는 의미
14.중양절: 국화전, 밤떡
15.상달: 시루떡 (붉은 팥고물), 애단자, 밀단자 등 - 당산제와 고사 등에 쓰여 풍파를 없애고 건강을 기원
16.팥죽: 팥 죽 - 동지는 작은설이라고 하여 다가올 내년에 부정한 악귀나 나쁜 액을 물리치기 위한 의미
17.납월: 골무떡 - 천지만물의 산령에게 은덕을 갚는 의미
18.섣달그믐: 온 시루떡 등 - 다가올 새해의 나쁜 액을 물리치기 위한 의미
떡의 종류와 의미
백설기 : 깨끗하고 병이 없으며 백이라는 숫자의 의미. 즉 완전함을 뜻한다.
수수팥떡 : 오만잡귀를 물리쳐 액을 면하라는 의미.
인절미 : 마음과 육체가 찰떡같이 하나로 붙어 있으라는 의미.
찰떡처럼 부부금실이 귀착되라는 의미
오색송편 : 오행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속에 있는 고물처럼 꽉 차고, 감싸고 있는 떡같이 넓은 마음을 가지라는 의미, 만물의 조화.
무지개떡 : 팔선녀를 의미하고 있으며 복과 재물을 주라는 의미
절편 : 흰색, 쑥색은 부부간의 조화를 의미
송편 : 부부의 가정에 속이 꽉 차고 넓은 마음으로 화합하라는 의미
화전주악 : 아름다움, 고상함. 품위
기주증편 : 무병, 탈 없음을 기원
찰깨끼 : 세상의 모든 좋은 일을 포함한다는 의미
봉채떡 : 부부의 금실 및 화목, 액막이
봉채떡은 봉치떡이라고도 하며 혼례 전 함이 들어올 때 떡을 해놓고 함을 맞이하던 풍속에서 만들던 떡이다. 시루에 붉은팥고물을 두고 물 내린 찹쌀가루을 두 켜로 안친다. 그 위에 다시 고물을 얹고 맨 위에는 대추와 밤을 돌려 담는다. 떡을 쪄낸 뒤 시루째 상 위에 올렸다.
떡을 만들 때 찹쌀가루를 쓰는 것은 부부의 금실이 찰떡처럼 평생을 화목하게 잘 합쳐지라는 뜻이고 두 켜를 놓는 것도 부부를 의미한다. 붉은 팥고물은 붉은색이 액을 면하게 해준다는 의미이고 대추는 아들을, 밤은 딸을 상징한다.
해떡 : 밝은 태양의 양기가 집안에 가득 들어와 좋은 일만 가득하라는 의미
달떡 : 보름달처럼 밝게 비추이고 둥글게 채우며 잘 살도록 기원
천두떡 : 별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 년 농사가 잘되어 풍년을 들기를 기원하는 의미
기미떡 : 칠성떡으로 칠성의 명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
'무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해도의 병굿 (0) | 2007.12.11 |
---|---|
굿과 힙합이 만나는 무대 (0) | 2007.10.20 |
청와대는 주인이 따로 있다. (0) | 2007.05.16 |
부적은 미신인가 과학인가? (0) | 2007.04.26 |
내림굿의 종지잡이 (0) | 200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