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속의 새 까마귀
우리는 까마귀를 보면 불길 한 징조라고 생각하고 죽음을 연상한다. 언제부터 까마귀가 불길한 징조를 가져오는 흉조가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아마 동이족이 중원의 패권을 상실하고 한반도로 이주 하고 난 뒤 중국의 영향으로 민족의 정체성을 상실하면서 까마귀를 흉조로 보게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본디 까마귀는 태양을 상징하는 새로, 불길한 징조를 미리 알려 불행을 막을 수 있도록 예시를 주는 새로, 또 효자를 상징하는 착한 새로 알려줘 있다.
까마귀의 어원은‘가마고’라고 한다. 가마는 곰의 어원이 변하여 생긴 말이라고 한다. 또 가마는 우두머리를 나타내며, 곰은 단군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렇게 본다면 까마귀는 단군과 관련된 새로 우리 민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삼족오는 태양 속에 발이 세 개 달린 까마귀의 그림이다. 왜 태양 속에 발 세 개 달린 까마귀를 넣었을까? 봉황이나 공작 등 아름다운 많은 새들이 있는데 유독 까마귀를 넣는 이유는 바로 단군왕검의 적통을 이어 받아 태양을 숭배하는 정통성 있는 왕조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연오랑延烏郞 세오녀細烏女 이야기가 있다. 연오랑이란 이름을 풀이하면 까마귀를 인도하는 남자라는 뜻이다. 즉, 태양을 인도하고 끌어 오는 사람이다. 그래서 연오랑 세오녀가 일본으로 가고 난 뒤 신라가 태양이 정기를 잃었다고 하였다. 그들을 다시 데려오기 위하여 신라 아달라왕은 일본에 사신을 보냈으나 일본의 왕이 된 연오랑이 오지 못한다고 하여 그의 왕비인 세오녀가 짜준 비단을 가지고 태양의 정기를 다시 찾기 위한 제사를 지낸 곳이 바로 오늘의 영일만이다.
삼족오의 유래는 희화의 아들 열 명이 태양이 되어 하늘에 떠 있으니 온 천지가 말라 죽게 되어 희화는 수하 장수 제준에게 활을 쏘아 태양을 떨어트리게 하였다고 한다. 그때 떨어진 태양은 발이 세 개 달린 까마귀였다고 전한다.
또 까마귀는 앞으로 닥칠 위험을 미리 예시해 주는 새로도 많이 등장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 란 비처왕 이야기가 있다. 여기에도 까마귀가 나와서 그 서신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을 인도한 것이다. 그 후 비처왕은 정월보름날에 까마귀의 기일이라 하여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 제사 지냈다고 한다.
또 까마귀를 보고 반포조反哺鳥라고 한다. 이 말은 반포보은에서 유래되었는데 까마귀는 늙은 어미를 위하여 먹이를 물어다 주어 그 은혜를 갚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그 외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날 수 있도록 은하수에 다리를 놓아주는 새도 까마귀와 까치다.
이렇게 좋은 의미로 우리 설화에 많이 나타나는 까마귀를 우리는 죽음을 상징하는 흉조라고 느끼게 된 것은 음양 오행사상이 도입되고부터가 아닌가 한다.
까마귀는 온 몸이 까만색이다. 검은 색은 오행 중 북방을 나타낸다. 또 어둠을 상징하고 죽음의 의미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거망증이 심한 사람을 우리는“까마귀 고기 먹었나?”라고 한다. 이것 또한 까마귀의 몸 색깔에서 비롯된 말이라 생각한다. 온 몸이 새까만 까마귀는 먹통을 연상하게 하고 먹통의 까만색을 까마귀에 비유하여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까마귀를 길조로 여겨 도시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는 것은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제시하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