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에 나타난 단군시대의 팔가 부적에 나타난 단군시대의 팔가 무당과 부적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부적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서민들이 부담을 적게 느끼고 쉽게 장만할 수 있는 것이 부적이기도 하다. 부적은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나쁜 기운을 예방하고 좋은 기운을 받아 자신이 바라는 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 .. 무속 이야기 2009.01.05
한강변 용두암 기도터 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검단산에 용두암기도터가 있다. 당주 이옥선(당 70세)씨가 20여년 전 들어와 기도를 하면서 몸소 닦은 기도터다. 예전에 가든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던 당주는 갑자기 몸이 아프고 병원에 기도 병명을 알 수 없어 고생을 하다가 이 곳으로 들어 와 기도를 하면서 아픈 몸이 낳았다.. 기도터 순례 2008.11.13
엑소시스트 공개테스트 엑소시스트 공개테스트 지금 장안은 모 케이블방송에서 진행하고 있는 <엑소시스터 공개테스트>에 온통 솔려 있다. 이번 공개 테스트에는 신을 내린지 3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는 9살 난 애기부터 각 지방에서 올라 온 나름대로 뻔뻔스러운 무당 20여명이 참가했다. 그들이 참가한 사연들을 서울로 .. 삼지창 칼럼 2008.10.26
삼신할미의 가르침 삼신할미의 가르침 삼신사상은 삼신할머니로부터 전해진 우리 민족을 비롯한 인류 전체의 정신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철학으로 천부경으로 나타나 있다. 삼신사상에서 나오는 중요한 문구들을 해석하여 삼망에 물들어 혼탁해진 무교인들이 삼진으로 다시 돌아왔으면 하는 바램으로 올려 본다. .. 삼신할미 이야기 2008.10.23
천부경에서 비롯된 단동십훈檀童十訓 천부경에서 비롯된 단동십훈檀童十訓 <단동십훈>이란 단군이래로 전해오는 놀이 육아법으로 전해 오고 있다. ‘도리도리 짝짜꿍’ 이나 ‘곤지곤지 잼잼’은 우리가 어릴 적에 영문 모르고 즐겼던 것들이다. 그러나 이 모든 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경전인 천부경의 원리를 비.. 무신도 2008.10.12
[스크랩] 삼신의 가르침을 일깨우는 부채 삼신의 가르침을 일깨우는 부채 부채는 무당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무구로 그 종류도 칠성부채, 대신부채, 동자부채, 선녀부채 등 다양하다. 무당들이 굿을 하기 전에 무당마다 다르지만 오른손에 부채를 들고 왼손에 방울을 들어 신들을 청배한다. 방울은 소리로서 신들에게 고하고, 부채는 .. 삼신할미 이야기 2008.09.15
제 23조 자임自任 제 23조 자임自任 自任者는 不由他而專其自然之誠이니 자임자 불유타이전기자연지성 不求而自至하야 如春秋之代序하며 日月之相替니라 불구이자지 여춘추지대서 일월지상체 「스스로 맡는다는 것은 다른 연유가 아니라 오로지 자연의 정성에서이니 바라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나니, 그것은 마치 봄.. 삼신할미 이야기 2008.09.01
성직자들의 복장과 의미 성직자들의 복장과 의미 지구상의 모든 종교의 성직자들은 자신의 종교의 사상과 가치를 잘 나타내는 복장이 있다. 각 종교별 성직자들의 복장에는 그 종교가 지향하는 정신이 그대로 나타나 있기 때문에, 성직자들에게 사제복은 ‘입을 수 있는 경전’이자, 끊임없이 자신을 돌보게 하는 ‘단추 달린.. 카테고리 없음 2008.01.08
무교가 사회에 끼치는 순기능 무교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 무교는 우리 민족의 조상이자 인류 창조신인 삼신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유인시대를 거쳐 한인시대에 우리 조상들이 이 땅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면서제일 먼저 행한 것은 삼신, 즉 하늘에 대한 감사의 제례였다. 한웅시대의 참교를 거쳐 단군시대의 덕교, 그리고 예맥.. 삼지창 칼럼 2006.11.24
한국기독교의 성장 뒤에는 무교가 있었다. 한국기독교의 성장 뒤에는 무교가 있었다. 한국의 기독교는 이 땅에 들어온 역사에 견주어 봐도 너무나 짧은 시간에 전 세계가 주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다. 어떻게 기독교가 이 땅에서 뿌리 내리고 성공할 수 있었는가 하는 의문을 가져 보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 성공 뒤에서 정말로 진.. 삼지창 칼럼 2006.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