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 나는 무당이다 제2회 방송 무속팟캐스트방송 <그래! 나는 무당이다.> 제 2회 방송을 올립니다. 이번 주 주제는 <신내림>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많은 사랑과 정취 부탁드립니다. 지난번 방송은 나가자 마자 팟캐스트 방송 530여개 중 216위까지 순위가 올랐습니다. 이 놀라운 성과는 무교인.. 그래! 나는 무당이다 2013.06.10
축제연구포럼발제문3 7. 조선시대의 무교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 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와 함께 무속도 탄압하여 무당들을 천민으로 떨어졌지만 왕실과 관청에서 아주 무시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록으로 알 수 있다. 정책으론 탄압하였지만 일반 서민들 사이에는 여전히 무풍이 성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 무속 이야기 2013.06.07
축제연구포럼 발제문 1 지난 6월 1일 종로3가 천우극장에서 가졌던 축제연구포럼 김정환 회장(오산대학교 축제이벤트학과 교수) 신현식 간사장(상지대학교 교수) 두 분의 열정적인 추진력과 탁월한 리더와 멀리 지방에서 참석해주신 회원님들의 뜨거운 관심에 깊이 감사드린다. 특히 축제포럼 발표장을 굿으로 .. 무속 이야기 2013.06.02
샤먼박물관 개관 지난 5월 2일 정릉에 소재한 샤먼박물관이 많은 학자와 무교인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을 가졌다. 오랜세월 한국 무교 발전에 깊숙히 관여했던 무속학자 양종승 박사가 사비를 투입하여 오랜 무교의 숙원인 샤먼박물관을 개관하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분들이 무교박물관을 준비.. 무천 리포트 2013.05.13
2013년 압구정도당굿이 열린다. 이번 토요일 압구정도당굿이 열립니다. 압구정도당굿은 강남의 대표적인 마을굿이었지만 1960년 소멸된 도당굿이다. 예전 당에는 오방신장을 각별하게 모시는 곳으로 삿된기운과 잡귀를 물리쳐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굿이었다. 금년에 두번째로 열리는 압구정도당굿은 보존회 이.. 무천 리포트 2013.04.22
봉화산도당굿을 다녀와서 봉화산도당굿 답사기 <봉화재 도당 모습과 당집에 모셔진 여산신> 삼짇날엔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도당굿이 두 곳에서 열린다. 한 곳은 중량구 봉화산도당굿이고, 또 하나는 우이동 삼각산도당굿이다. 오늘은 봉화산도당굿을 다녀왔다. 160미터밖에 되지 않는 야산이지만 운동.. 무천 리포트 2013.04.12
삼짇날의 의미 음력으로 3월 3일을 삼짇날이라고 한다. 금년의 삼짇날은 강남갔던 제비가 돌아오기엔 날씨가 아직은 춥다. 이 추운 날씨에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봉화산도당굿과 삼각산도당굿이 삼짇날 열리고 있다. 베트남 렌동축제도 母神이라는 여신 세 분을 모시고 굿을 하는축제로 우리의 .. 삼신할미 이야기 2013.04.11
염주의 기원과 의미 염주의 기원과 의미 불교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염주는 인도의 부라만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에서 가장 먼저 사용하였다가 불교로 보급되었으며 다시 인도에서 유럽으로 전해져 기독교, 이슬람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염주는 신에게 기원할 때나 번뇌에서 벗어나.. 삼신할미 이야기 2013.04.10
삼척 해신당 축제를 기다리며 <삼척 해신당 모습> <일본 카나마라 마츠리 모습> 이번 주 일요일이면 일본 '카나마라 마츠리(かなまら祭り즉, '남근축제'가 시작된다. 이 축제 보고 즉시 떠오른 것이 바로 삼척의 해신당 남근 축제다. 강원도 대부분 도시는 외지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 주어야 지역경제가 발전할.. 삼지창 칼럼 2013.04.04
육십갑자의 명칭과 의미 天干과 地支의 제정 천간과 지지를 한번씩 교차하면 60년이 된다. 그래서 61살이 되면 다시 갑자로 시작하는데, 이것을 환갑이라고 한다. 육십갑자六十甲子는 고대사회의 책력으로 지금도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중국 학자 <서량지徐亮之>가 쓴 《중국사전사화中國史前史.. 삼신할미 이야기 201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