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교이론 강좌 개설 무교이론 강좌 개설 ​무교는 우리 민족과 함께해온 역사인 동시에 민족종교이며 정체성이다. 마땅히 대한민국에서 존중되어야 하며 무교인 역시 존경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현실은 멸시 받고 폄하되어 설 곳을 잃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이유도 있겠지만 무교인 스스로 자초한 것.. 무천 리포트 2015.08.21
무당은 사제인가 사기꾼인가 2 무당은 사제인가 사기꾼인가 2 몇 년 전 칼럼을 모아 책으로 낼 때 제목으로 사용하려다 출판사의 반대로 사용하지 못한 말이다 . 무교에 몸담은 지 28년이 지나가면서 한결같은 의문이 바로 이 말이다. 늘 무교는 민족종교며 무당은 민족종교의 사제라고 핏대를 세워온 필자도 이런 생각을 들 때가 있으니 일반인들 시각에는 일부 무속인들의 행태가 바로 사기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길거리에 수없이 많은 깃발이 꽂혀있어도 안심하고 찾아갈 곳이 없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현실인가? 어려운 문제나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찾아간 곳에서 더 큰 문제를 만들게 되어 삶의 희망을 상실하게 되는 일부 악질 사기꾼 같은 무속인들의 행태가 끊이질 않고 발생하는 것은 무교 전체를 사기꾼 집단으로 바라보게 하는 고질적인 병폐라고 할 수.. 삼지창 칼럼 2015.02.09
입춘의 세시풍속 입춘의 세시 풍속 立春은 일년 중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고 한다. 역학에서는 이날이 지나서 태어나야 계사생으로 보기도 하는데, 입춘은 정월 첫 번째 드는 절기지만, 입춘이 섣달에 들기도 하는데 이럴 때는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입춘 전날은 사철의 마지막.. 무속 이야기 2015.02.02
무교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하는 굿문화연구회 굿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다. 수천 년 내려온 우리 민족의 신앙인 무교가 이 시대에도 폄하되고 무교인들이 무시 받고 있다는 것은 우리 것을 남의 정신으로, 남의 시각으로, 남의 잣대로 무교를 생각하고 바라보고 재단하기 때문이다. 직업의 귀천이 없다는 이 시대에도 아직까지 그 어.. 무천 리포트 2015.01.11
탤런트 정호근 무당이 되다. 탤런트 정호근 무당이 되다. 지난달 갑자기 탤런트 정호근 선생의 연락처를 알려달라는 전화가 빗발쳤다. 그 사유를 알고 보니 지난 윤9월에 신내림굿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언론 등에서 이 사실을 많이 다루는 바람에 더 유명세를 타며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 정호근 선생은 <광개.. 삼지창 칼럼 2015.01.05
칠성거리1 칠성거리 -1 ​ 현재 황해도 굿거리 중에서 제일 큰 거리라고 하는 칠성거리는 칠성제석거리 혹은 제석거리로도 불린다. 여기서 제석은 생산의 신으로 현재 불교의 신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제석은 불교의 신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조상 삼신할머니를 말한다. 천지인을 말하고 .. 무속 이야기 2014.11.05
부정·초감응거리 부정·초감응거리 황해도 굿에서 보통 두 번째로 하는 거리로 부정거리 또는 초감응거리라고 한다. 이 거리는 오늘 드리는 신사를 위하여 모든 신들과 조상들이 굿판에 참석하러 오시니 굿판을 깨끗이 정화한다는 의미가 있다. 부정거리는 높으신 신령들을 먼저 모시고 다음으로 조상들.. 무속 이야기 2014.09.28
상산거리의 유래와 해설2 <덕물산 최영장군 사당 전경> 중국의 고대 역사지리서인 <산해경>을 보면 「군자국이 북쪽에 있다 그들은 의관을 갖추고 칼을 차고 있으며 짐승을 잡아먹는다. 두 마리의 무늬 호랑이를 부려 곁에 두고, 그 사람들은 사양하기를 좋아하며 다투지 않는다. 훈화초薰華草라는 식물.. 무속 이야기 2014.09.14
무분별한 굿공연 바람직한가? 무분별한 굿공연 바람직한가? ​ 요즘은 어떤 명목을 걸고 굿을 하는 것이 유행처럼 되었다. 대부분 국태민안 아니면 남북통일 용왕제, 산신제 등등 명목을 내 세우고 굿을 하고 있다. 어떤 특정 단체에서 굿을 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 현장에서 벌어지는 너무나 황당.. 삼지창 칼럼 2014.08.15
황해도 굿에 사용하는 서리화의 의미 황해도 굿에 사용하는 서리화의 의미 <오색봉죽화> <떡시루에 꽂힌 서리화> <서리화> ​ 황해도 만신들이 굿을 할 때는 굿청 밖에는 큰 흰색 서리화나 오색봉죽화를 꽂고 떡시루에는 흰서리화를 반드시 꽂는다. 서리화라는 명칭은 나뭇가지에 서리가 내린 것처럼 생겼다고.. 무속 이야기 2014.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