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을미년 새해 운맞이 재수굿 2015년 을미년 새해 운맞이 재수굿 굿 Healing 페스티벌 ​ ​송구영신 送舊迎新 ​​​ 주최 : 굿문화연구회 주관 : 굿문화연구회 田문화예술연구소 일시 : 2014년 12월 31일 오후 8시~12시 장소 : 창덕궁 소극장 후원 (재)한국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창덕궁 소극장 무속팟캐스트 .. 무천 리포트 2014.12.16
절반의 결실(結實) 2 절반의 결실(結實) 2 ​ 2002년 2월에 중앙일보 기사를 보고 쓴 칼럼이 절반의 결실이란 글이다. 이 때 중앙일보에 실린 기사는 다음과 같았다. 『점술인 예언 사기 아니다”란 제목 밑에 “대법원 무죄 판결”이란 작은 부제가 있는 기사였다. 그 내용인즉 「대법원 2부(주심 孫智烈대법.. 삼지창 칼럼 2014.10.14
상산거리의 유래와 해설3 상산거리의 유래와 해설3 조선시대에 만들어져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무당내력>이란 책의 기록에 보면 단군님을 감응시킬 때 백지를 양 손에 들고 성조聖祖감응이라 외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럼 여기서 황해도 굿의 산상거리를 소개한다. 일반굿에서 가장 먼저 하는 굿.. 무속 이야기 2014.09.18
상산象山거리 유래와 해석 1 상산象山거리 ​ 굿을 할 때 어느 지방 굿이든 반드시 산거리라고 하여 산신을 모시는 거리가 있다. 이 거리를 산천거리 또는 상산거리라고도 하는데 굿을 하기 전에 팔도명산 산신령께 오늘 굿을 한다는 것을 알리고 산신을 모시는 거리로 알고 있다. 이렇게 굿을 할 때 가장 먼저 산.. 무속 이야기 2014.09.11
추석의 유래와 세시풍속 추석유래와 세시풍속을 찾아서 '한가위'... '물고기도 추석을 쇠고 추석이면 개도 송편을 세 개나 먹었다' 벌초·성묘·차례·소놀이·강강수월래·원놀이·가마싸움·씨름·반보기·올게심니 이창준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추석이 되면 ‘물고기도 추석을 쇤다’고 하였고 ‘추석에.. 삼신할미 이야기 2014.09.06
황해도굿의 명인 신동옥 선생 만신이 된지 20년 차인 중견 무교인 신동옥 선생 타고난 신의 목소리와 활달한 춤사위로 원로 큰 만신들의 뒤를 이어 황해도굿을 이끌어나갈 차세대 대표만신이다. ​ 특히 배우기 힘든 황해도굿을 체계적으로 잘 가르칠 뿐만 아니라 만신으로 갖춰야 할 인품까지 갖춘 훌룽한 선생이.. 동영상 2014.09.01
이게 뭡니까? 이게 뭡니까? 며칠 전 이런 문자를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블로그보고 문의 드립니다. 동창회 나갔다가 우연히 만난 친구하나가 무당이 되었더군요. 마침 선택의 기로에 선 문제가 있었는데 도대체 답이 안 나와서 친구와 함께 신내림 받은 친구를 찾았다가 굿을 안 하면 답이 없단 .. 카테고리 없음 2014.08.28
신당神堂이 가지는 의미 신당神堂이 가지는 의미 우리 무교인은 내림굿을 하고 나면 최우선으로 하는 일이 바로 신당을 모시는 일이다. 그러면 신당은 왜 모시는 것일까? 점을 보고 돈을 벌기 위한 영업장을 여는 것일까? 사람들이 그 앞에 와서 절을 하라고 모시는 것일까? 아님 무당이 되었으니 신령님을 그냥 .. 삼지창 칼럼 2014.08.24
무분별한 굿공연 바람직한가? 무분별한 굿공연 바람직한가? ​ 요즘은 어떤 명목을 걸고 굿을 하는 것이 유행처럼 되었다. 대부분 국태민안 아니면 남북통일 용왕제, 산신제 등등 명목을 내 세우고 굿을 하고 있다. 어떤 특정 단체에서 굿을 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 현장에서 벌어지는 너무나 황당.. 삼지창 칼럼 2014.08.15
황해도 굿에 사용하는 서리화의 의미 황해도 굿에 사용하는 서리화의 의미 <오색봉죽화> <떡시루에 꽂힌 서리화> <서리화> ​ 황해도 만신들이 굿을 할 때는 굿청 밖에는 큰 흰색 서리화나 오색봉죽화를 꽂고 떡시루에는 흰서리화를 반드시 꽂는다. 서리화라는 명칭은 나뭇가지에 서리가 내린 것처럼 생겼다고.. 무속 이야기 2014.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