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암 최광자 선생 진적 중 별상거리 별상마마는 마마가 창궐할 때 마마에 걸리지 않게 기원하는 신이다. 별상거리에서는 머리에 족두리를 쓰고 연지 곤지를 찍으며 굿을 한다. 특히 김포 통진쪽은 별상이 세다고 하여 결혼하기 전에 반드시 여탐굿을 하여 별상님을 즐겁게 하여 주었다. 그렇지 않으면 혼인 후에도 잘 살지 못하거나 소박.. 동영상 2009.03.07
명도암 최광자 선생 진적 3월 6일 부평 철마산굿당에서 명도암 최광자 선생의 진적이 있었다. 황해도 굿 중에서 가장 엄숙하고 장중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칠성거리 일부를 올려 본다. 북두칠성을 칠성신으로 모시는 거리로 보통 수명과 복을 기원하는 거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북두칠성의 일곱별들은 각각 하는 일이 다.. 동영상 2009.03.07
명도암 최광자 선생 진적 부천 심곡본동에 자리잡은 명도암의 을화보살 최광자 선생의 진적이 3월 6일 부평 철마산 굿당에서 있었다. 많은 신도들이 참석하여 굿당이 비좁을 정도였지만 염치 불구하고 비비고 들어가서 한귀퉁에 자리 잡았다. 신을 받고 만신이 된지 6년으로 아직 애동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굿하는 솜씨는 절.. 무천 리포트 2009.03.07
삼불제석이란? 삼불제석三佛帝釋이란 무교신들 중에 삼불제석三佛帝釋이란 신이 있다. 이 삼불제석은 무교가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슬그머니 만들어 낸 신으로 본래는 삼신제석이다. 그 시기는 아마 고려시대 쯤으로 추축되는데 그 이유는 고려시대가 불교의 전성시대였기 때문이다. 불교를 국교로 삼고 모든 왕실.. 무속 이야기 2009.03.02
네티즌에 울고 웃는 세상 네티즌에 울고 웃는 세상 요즘은 인터넷시대라 모든 여론을 인터넷이 좌지우지한다고 봐야 한다. 지난번 광우병 파동 때 보여준 촛불집회 등 각종 현안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급속히 여론이 확산되고 재생산되어 온 국민의 이슈로 등장하곤 한다. 물론 이러한 인터넷 여론이 올바른 사회를 만드는데 .. 삼지창 칼럼 2009.02.22
법사 고장 무료로 가르쳐 준데요. 지인의 소개로 어제 계룡산 천문기도도량을 찾았다. 신원사 삼거리에서 갑사 방향으로 가다 갑사로 들어가지 말고 좌측으로 2키로 정도 계속 직진하다보면 우측편에 <천문기도도량>이라는 팻말이 보인다. 좌측 맞은편으로 마을 서낭나무가 서 있는 산길로 접어 들면 마을을 지나 산길로 계속 직.. 기도터 순례 2009.02.19
신당에서 절하는 예법 신당에서 절하는 예법 우리 민족은 예부터 사당이나 사찰의 법당, 혹은 웃어른들에게 절을 한다. 특히 무교인들은 매일 신당에서 천지신명에게 정성을 다하여 정성精誠과 경신敬神의 의미로 절을 한다. 절을 하는 이유는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을 존경한다는 의미다. 부모님이나 웃어른에게 절을 할 .. 삼신할미 이야기 2009.02.10
남산 한옥마을 정월 대보름 행사 기축년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남산 한옥마을에서는 보름맞이 대동굿을 비롯한 각종 민속놀이가 펼쳐졌다. 트기 대동굿에서는 황해도 굿의 명인 무형문화제 서해안풍어제의 보유자인 김금화 선생께서 노구를 이끌고 나오셔서 많은 관객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 이 굿판에는 한나라당 .. 무천 리포트 2009.02.10
황해도굿 중 도산말명거리의 재담과 공알타령 무당 : 오두방정에 육해살이 꼈나? 무슨 놈의 장구를 그 따위로 치나? 콩을 볶나 깨를 볶나 총 나간다 칼 나간다, 칼 나간다 총나 간다, 오뉴월 장마에 보리 마당질 하듯 줘 박는구먼, 아이구 숨차 어떻게 박아대는지 춤을 추다 못해 비벼댔으니 거웃이 다부서 졌지 뭐야, 배라먹을 것들 장.. 무속 이야기 2009.01.11
굿과 무속 우리 무속은 수 천년을 내려오면서 온갖 고초와 수난을 당하였지만 그 맥이 끊어지지 않고 우리 민족 생활 전반에 깊이 뿌리 내리고 있는 것은 바로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가치를 인정하는 생생지생(生生之生)의 대 원칙에 충실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무속은 자연의 모.. 무속 이야기 2009.01.10